인터뷰|윤여창 서울대 교수
"산림 경영도 지속가능성 고민할 때"
2021-05-03 00:00:01 게재
정부 정책 일대 전환 필요 … 생태계서비스 개발에 중점
간단히 얘기하면 삼림에서도 전과정평가(LCA) 개념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는 소리다. LCA란 제품을 만들 때 들어가는 원료와 가공 과정, 수송 및 유통, 폐기물 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소모되고 배출되는 에너지 및 물질의 양을 산정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를 토대로 환경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임업도 순환경제 이론 고려해야
윤 교수는 1970~1980년대 산림청에서 근무했다. 그와 인터뷰를 했을 당시에는 환경단체들의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 전면 백지화 요구가 한창일 때였다.
환경단체들은 산림청의 불균형한 산림의 영급(나무 나이를 10년 단위로 나눠 계산) 구조 개선 정책에 반발하고 나섰다. 인간의 산업 경제 소비 활동에서 대대적인 변화를 추구하지 않고 나무를 베어 탄소중립을 이루겠다는 계획은 말이 안 된다는 것.
반면 산림청은 환경단체들이 오해를 하고 있는 측면이 있다며 4월 29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었다. 산림청은 '2050 산림부문 탄소중립 추진전략(안)'이 생물다양성 증진 등 산림의 다양한 공익기능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환경단체 비판과 관련해 항목별로 입장을 밝혔다.
어쨌든 이번 사태를 계기로 우리나라 산림경영에 대한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전세계적으로 에너지 전환 등 경제 체질 개선에 들어간 것처럼 임업 역시 지속가능한 경영으로 무게 중심을 바꿔나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속가능한 임업은 땅 속에 축적된 산림탄소가 빠른 시일 내에 발산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벌채 방법에 따라 탄소배출량이 달라질 수 있어요. 택벌(나무를 선택하여 잘라내는 것)을 하면 탄소 배출 속도가 느립니다. 반면 개벌(임공림 조성시 실시하는 임목벌채의 한 방법)을 하면 탄소 배출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지죠. 단순히 나무 수종별 표준 탄소배출량만 보는 게 아니라 종합적으로 고려해 산림을 운용해야 합니다. 임업도 순환경제 이론에 대해 고민을 해 볼 필요가 있어요."
조림보조금 제도부터 개선 필요
윤 교수는 자연림의 경우 단순 물질 생산(목재)이 아닌 산림 생태계 서비스 개발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숲을 휴양공간으로 활용하게 하면 궁극적으로 산주들에게도 이익이 된다는 주장이다.
"우리나라가 나무를 베지 않기 시작한 시기는 1970년대입니다. 30~40년 된 나무들이 제일 많은 시기이죠. 인공조림을 통해 목재생산에 목적을 둔 임업이라면 지속가능성을 위해 일정 나이의 나무들이 계속해서 갱신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자연림은 얘기가 달라집니다. 자연림의 경우 목재보다는 버섯 재배나 휴양 등 생태계 서비스 강화에 중점을 둬야 합니다."
윤 교수는 "정부의 산림경영 전략이 부재하다"며 "산림경영에서 우선적으로 지원하고 유도해야 할 부분이 어디인지 고민을 깊게 해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임업생산에서 벌채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큽니다. 인건비가 높아질수록 당연히 벌채를 하는 시기가 되도록 늦게 오게 해야죠. 실제로 독일 등 선진국은 나무를 오래 키우는 데 방점을 두고 있습니다. 우리도 이제 산림 정책 방향을 전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국고로 지원되는 조림 보조금부터 전반적으로 개편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 생물다양성, 수자원보전, 탄소저장 등 숲의 생태서비스가 커지도록 산림을 관리할 때 재정지원이 이뤄지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그에 따르는 혜택도 시민들이 바로 누릴 수 있도록 정책을 보완해야 합니다."
워싱턴대학교 대학원에서 산림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산림청 임업연구관,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장, 한국환경경제학회 감사, 한국임학회와 한국환경경제학회 이사, 한국임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행동하는 지성으로 다양한 시민사회활동을 벌이고 있다.
자연환경국민신탁 이사, 산과자연의친구 우이령사람들 회장 등을 맡고 있다.
김아영 기자 aykim@naeil.com
김아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