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석병수 부산노동권익센터장

"부산 노동정책 싱크탱크 역할"

2023-04-03 11:14:36 게재

상담부터 권리구제까지

취약노동계층 허브기관

"2년 간 청소, 돌봄, 운송, 플랫폼 등 노동자 2만2000여명을 만나 의견을 듣고 실태를 반영한 연구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석병수(사진) 부산노동권익센터장은 1일 내일신문 인터뷰를 통해 "사각지대에 있는 노동자들의 노동상담부터 권리구제는 물론 부산지역 노동정책의 싱크탱크까지 센터의 역할은 다양하다"고 말했다.

부산노동권익센터는 2020년 9월 설립됐다. 지자체들도 노동자 권익에 관심을 가지며 노동행정 제도화에 나서던 시기였다. 부산시에도 2019년 노동자권익보호조례가 제정된 데 이어 2020년 노동기본계획이 수립되며 센터 설립의 근거가 마련됐다. 하지만 설립이 코로나19 시기와 맞물렸다. 석 센터장은 "취약계층 노동상담이 당연히 주를 이룰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센터 개소 이후 매일 10여 건 가까이 상담을 했다. 이를 위해 공인노무사 3명이 상근직원으로 있다. 사업장을 찾거나 구군청사 내 임시상담소를 개설하는 등 현장 서비스도 진행했다. 지난해 상담만 2700여건이다. 센터 설립 이후 2년여 동안 6500여건이 진행됐다.

상담을 통한 권리구제 및 법률구제도 센터가 하는 역할이다. 임금체불, 산업재해, 부당해고, 직장내 괴롭힘 등 사례는 다양하다. 변호사도 직접 연결한다. 평균임금 350만원 이하를 받는 시민이면 센터에서 비용을 대고 합의와 화해까지 이끌어 낸다. 센터의 법률구제사업 혜택을 본 취약계층 노동자는 164명이다.

감정노동자나 직장 내 괴롭힘 등 법률로는 해결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럴 때는 센터가 비용을 부담해 1급심리상담사를 통한 심리치료를 병행한다.

센터 역할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노동존중문화 확산을 위한 교육 및 캠페인사업, 노동정책과 권리증진 제언사업, 광역 네트워크 구축 사업 등도 함께 한다.

취약노동계층 실태조사 및 토론회도 20여 차례 진행했다. 청소년과 시민,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노동인권교육을 실시한 것만 9300여건에 이른다. 이주노동자를 위해 9개국 언어로 번역한 권리수첩도 만들어 배포했다.

석 센터장은 "노동존중은 사업주도 사회도 다 함께 발전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며 "노동자 권리보호는 물론 인식개선과 다양한 권리증진사업 등을 통해 부산시 노동정책의 실질적인 허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곽재우 기자 dolboc@naeil.com
곽재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