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행 SRT 축소에 시민 반발 거세

2023-08-30 11:12:23 게재

대체열차 수서 직행 요구

부산시 "대책 협의 중"

부산역과 수서역을 오가는 SRT 운행축소를 앞두고 부산 시민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부산경실련은 29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SRT 축소 대안으로 부산∼수서간 무정차 열차를 운행하라"고 주장했다. 무정차 열차는 부산역에서 출발한 열차가 중간역에 정차하지 않고 목적지인 수서역까지 운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은 하루 수만명씩 이용하는 철도의 이동권 문제를 국토부가 독단적으로 처리했다고 비판했다. 부산경실련은 "국토부는 부산~수서간 SRT 축소 확정과정에서 부산시와 어떠한 협의와 소통도 없었다"며 "대책없는 SRT 축소는 환승불편을 부산시민들에게 전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녹색소비자연대와 녹색교통운동시민추진본부, 부산참여연대 등은 SRT 노선축소 철회 기자회견에서 국토부와 부산시를 싸잡아 비판했다. 이들은 "부산시민의 이동편의를 무시한 행정편의주의적 탁상행정을 펼친다"라고 하면서도 "시민 불편과 피해에 손놓고 있는 부산시가 더 문제"라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과 정의당 부산시당 등도 논평을 내고 SRT 축소계획 철회와 함께 노선 축소에 대한 대책을 요구했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9월 1일부터 부산행 SRT 하루 왕복 40회에서 35회로 축소한다고 발표했다. 경전선·전라선·동해선에 수서역으로 진입하는 SRT를 하루 왕복 2회씩 추가 배치하기 위해서다.

이 때문에 부산·울산·신경주행 SRT 좌석은 하루 4100석 가량 줄어든다. SRT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예약 경쟁이 치열해졌고 KTX 또한 연쇄 예약 전쟁이 불가피해졌다. 서울 강남권으로 가려는 시민들은 서울역을 거칠 수밖에 없어 시간과 비용면에서도 불리해졌다.

국토부는 부산시민들에게 배정되는 SRT 예매율을 높이고 KTX 열차를 추가 배차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시민들은 서울역 추가 배차는 환승불편을 방치하겠다는 것이고, 좌석할당 상향조정은 또 다른 지역 시민불편을 초래하는 돌려막기일 뿐이라는 시각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시민불편이 없도록 배차가 줄어든 만큼 수서역으로 갈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 국토부와 계속 협의과정에 있다"고 말했다.
곽재우 기자 dolboc@naeil.com
곽재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