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대중정당으로 '날갯짓' 준비
심상정, 진보 '4%벽' 깨
심상정 후보가 선전한 정의당은 이번 대선을 계기로 '대중 진보정당'으로서 디딤돌을 두는 데 일단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심 후보는 투표결과가 윤곽을 드러내기 시작한 10일 자정 "이번 선거는 우리 정의당의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 자리에서 국민 여러분들의 새로운 대한민국에 대한 열망을 받아 안아 우리 정의당 또다시 출발하겠다"고 밝혔다.
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당선인에게 전화를 걸어 "촛불의 열망을 받아 안는 성공한 개혁 대통령이 되기를 바란다"고 덕담을 했다.
심 후보는 당초 여론조사 지지율이 2∼3%대였지만 수 차례 TV토론에서 호평을 받으며 지지율이 두 자릿수까지 넘보는 '기염'을 토했다.
심 후보는 최종 득표율 6.2%를 기록했다. 선거 막판 문 후보 측 '사표론'이 지지층의 결집을 유도하면서 쏠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진보정당 후보가 그동안 넘지 못했던 4%의 벽을 깼다는 점에서 평가를 받는다.
지난 2008년 대선에서 권영길 민주노동당 후보는 71만여표로 3.01%를 득표했다. 권 후보는 2002년 대선에서 95만여표로 3.89%를 기록했다. 2012년 대선에서는 이정희 통합진보당 후보가 출마했으나 막판 사퇴했다.
심 후보는 선거운동 기간 "정의당은 합리적 노선이 준비됐다. 2020년 진보정당이 수권정당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로드맵이 있다"며 진보정당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종북 프레임'에서 벗어나 '개혁'과 '복지'를 화두로 꺼내들어 주도하기도 했다.
통합진보당 해산 사태 이후 존재감이 희미해졌던 진보정당에 다시 숨결을 불어넣었다는 평가다.
[관련기사]
▶ [제19대 대통령 문재인] 촛불열망 응집, 사상최대 차이(557만표 차이) 승리
▶ 국무총리에 이낙연 전남지사 내정
▶ [19대 대선 표심 분석] 탄핵민심, 정권교체 요구로 폭발했다
▶ [문재인 대통령을 만든 사람들] '하나의 팀' 정신으로 자력집권 일궈냈다
▶ 여론조사, 이번 대선도 당선자 '적중'
▶ 4당, 대선결과 '수용' 미래대통령 '당부'
▶ 인사·추경·사드로 집권 초반 '승부수'
▶ [보수는 왜 정권재창출에 실패했나] 소통·책임 없는 무능정권, 지지층 뿔뿔이
▶ 한국당, 후보-구도-캠페인 다 졌다
▶ [피난민 아들이 대통령 되기까지] 노무현 친구 → 재수끝 대통령 당선
▶ 홍준표, 당권 장악 나서나
▶ '정권교체'에 밀린 안철수의 도전
▶ 유승민, 잠재력 보였지만 세력화 한계
▶ 미, 문재인 대통령에 '기대반 우려반'
▶ 중·일, 일제히 '관계개선' 주문
▶ "남북대화 재개, 한미관계 변화할 가능성"
▶ '지방분권·균형발전' 국정운영 핵심축 기대
▶ 중소벤처기업부·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
▶ "촛불대통령, 국민통합·지방분권 대통령 돼야"
▶ 오늘 정오 국회의사당서 취임선서
▶ ['제이노믹스' 성공조건 | ① 적폐청산 제대로 해야 경제가 산다] 재벌에 밀린 '참여정부 전철' 되풀이 안된다
▶ 첫 시험대 '10조원 추경'
▶ [문재인정부, 금융현안 해결 가닥 잡을까 | ①미국발 금리인상 태풍] 경기부양 위해 적극적 재정정책 역할 커진다
▶ 서민금융정책 확대에 힘실린다
▶ '취임일 2300(코스피지수 장중) 돌파' 시장도 정권교체 반색
▶ "새정부 경제민주화 정책, 국내 증시부양에 효과"
▶ "경제도약에 자본시장 발전 필수"
▶ 4차 산업혁명·방산·내수주 뜬다
▶ 공공임대주택 매년 13만가구 공급
▶ 농어업특위 10년 만에 부활
▶ 4차산업혁명 대비, 과학·ICT에 힘 실을 듯
▶ 미국·중국 '빅2' 통상압력에 대응 강화
▶ 에너지정책은 '탈원전·탈석탄'
▶ [문재인정부의 재벌개혁] 주주 권리 강화로 총수 전횡 방지
▶ "대기업 중심 경제구조 바꿔야"
▶ 유통업계 사드·임금·쇼핑몰 현안 산적
▶ "해수부 주도로 해양 강국 재건한다"
▶ 전기 오토바이 보급 확대될 듯
▶ [문재인 대통령 공약으로 본 교육제도 변화 전망] 수능절대평가 전면도입 추진한다
▶ "보건의료 분야 일자리 50만개 창출 가능"
▶ [노동정책 어떻게 바뀔까] 노사정 대타협으로 노동존중사회 지향
▶ '재정신청 대상 전면 확대' 추진
▶ 막 오른 '문재인 검찰개혁'
▶ 개혁성향 대법관 임명 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