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자율주행차 기술선도국을 향한 우리의 노력
우리나라는 1960년대 자동차 진흥 정책을 수립한 이후,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추격자 전략'을 통해 세계 5위 자동차 생산국으로 부상했다. 하지만 향후 더 큰 도약을 위해서는 기술혁신 트렌드를 이끌 수 있는 '선도형 전략'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최근 자동차 분야의 기술혁신은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차 기술개발과 함께 자율주행차와 관련한 글로벌 기술경쟁이 치열하다.
현재 자율주행차 기술은 완전자율주행 구현이 아닌 특정 조건하에서 운전자를 보조하는 수준이다. 전세계의 양산차 기업 및 스타트업들이 미래 시장의 선점을 위한 출발선에 올라선 상황이다. 미국 자동차공학회에서는 자율주행 수준을 0~5단계로 구분하는데, 현재는 운전자 보조(레벨 1, 2)에 머무르고 있다. 운전자가 특정 구간에서 핸들을 놓고 운전하고, 비상시에만 차량을 제어하는 레벨3 자율주행 차량은 올초 일본 기업이 한정된 수량을 시범양산 했을 뿐이다.
우리도 내년 하반기 레벨3 자율주행차 생산을 목표로 기술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는 지형적 조건, 뚜렷한 사계절, 높은 인구밀도와 분절적 도로로 완전한 자율주행기술을 구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조건이다.
이런 조건을 극복하고, 탑승자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자율주행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산업부는 과기부, 국토부, 경찰청과 함께 범부처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 사업단'을 발족했다. 2027년까지 자율주행시스템 작동구간 내에서는 운전자 개입이 불필요하며 안전성이 담보된 레벨4+ 자율주행 구현을 목표로 약 1조1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관계부처가 협업해 고도의 센서와 차량용 반도체를 탑재한 신뢰성 높은 고성능 자율주행차를 만들고 이를 첨단 통신망과 연계할 계획이다. 또 자율주행 도로 등의 인프라를 개발하고 자율주행 교통규제와 보험 관련 제도를 정비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편리하고 안전한 자율주행을 국민 모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자율주행기술은 아직 선두권 국가와의 기술격차를 줄일 기회가 남아있다. 자율주행기술개발과 관련된 민, 관, 학, 연 관계자가 한마음으로 최선을 다한다면 머지않아 최적의 자율주행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 목표가 현실이 될 때까지 산업부도 끊임없이 노력해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