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러시아 쿠르스크에 집결 중”

2024-10-28 13:00:01 게재

정부 대표단, 28일 나토서 브리핑 … 한미 국방장관은 30일 워싱턴서 SCM

지난18일 서울역에서 북한 군인의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을 보도하는 TV 화면을 한 시민이 보고 있다. AP=연합뉴스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이 공식화되면서 한국 정부의 대응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파병된 북한군이 격전지인 러시아 쿠르스크로 집결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부는 미국,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대응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북한군이 집결하고 있는 쿠르스크는 우크라이나군이 지난 8월 6일 진입해 일부 영토를 점령하고 러시아군과 교전 중인 접경지역이다. 25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북한군 수천명이 지난 23일 쿠르스크에 도착하기 시작해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기 위한 반격에 참여할 것이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27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쿠르스크에 집결하고 있는 북한 군인들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가장 훌륭하고 뛰어난” 군인들은 아닐 수 있다고 진단했다. WSJ는 공개된 북한군 영상과 정부 당국자들을 인용해 이번에 집결한 군인들은 10대에서 20대 초반의 어린 나이에 징집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이들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키와 체구가 작은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북한 전역에 만연한 영양실조를 반영한다고 군사 전문가들은 짚었다.

앞서 한국과 우크라이나 당국은 북한이 우크라이나에서 전쟁 중인 러시아를 돕기 위해 특수작전부대인 11군단 소속 병력 등 총 1만2000여명 규모의 병력을 파병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특히 북한이 파병한 11군단은 소위 ‘폭풍군단’으로도 불리는 북한의 최정예 특수부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WSJ은 북한의 특수부대 훈련은 주로 산악 지형인 남한에 침투해 암살, 기반 시설 파괴 등을 수행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서 이는 넓은 평원에서 참호전 양상으로 펼쳐지는 우크라이나 전쟁과는 거리가 멀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앳된 얼굴의 (북한) 군인들은 한 번도 북한 밖으로 나와본 적이 없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북한군은 오래되고 노후화된 재래식 군사 장비를 운영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두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러시아에 선발대로는 전투력이 약한 소위 ‘총알받이용’ 병력을 보내 우선 러시아 파병에 대한 국내외, 특히 러시아 정부의 반응을 살피려는 의도일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미국 싱크탱크 퍼시픽포럼의 연구원 제임스 JB 박은 WSJ에 김 위원장이 처음에는 상대적으로 ‘소모 가능한(expendable)’ 병력을 보내 국내외 반응을 살피기를 원할 수 있다면서 “이들은 후에 더 숙련된 군인들을 위한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우리 정부 대표단은 28일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나토 본부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이사회(NAC)에 참석해 북한군 파병 동향을 브리핑한다.

NAC는 나토 32개 회원국 대사들이 참석하는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이번 회의에는 한국을 비롯해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인도태평양 4개 파트너국(IP4) 대사도 초청됐다. 한국 정부 대표단은 홍장원 국가정보원 1차장을 단장으로 박진영 합동참모본부 정보부장 등 정보·군·외교 당국 고위 관계자들로 구성됐으며, 마르크 뤼터 사무총장은 한국 대표단 브리핑을 받은 뒤 약식 기자회견을 할 계획이다.

대표단은 나토 측과 북한군 파병 동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하면서 한국의 우크라이나 현지 모니터링단 파견, 우크라이나군 지원 문제 등도 협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정보원과 군 당국의 정보·대북 요원 등이 참여할 것으로 보이는 모니터링단은 전장에 투입된 북한군이 포로로 잡히거나 탈영하게 되면 이들을 신문하는 역할도 할 것으로 보이며, 대북 심리전 분야 요원도 참여해 북한군 탈영을 유도하는 작전을 수행·조언할 가능성도 있다.

아울러 정부는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동향 등을 보면서 단계적으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한다는 방침이어서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는 방안도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지난 22일 “앞으로 단계별 시나리오를 보면서 방어용 무기 지원도 고려할 수 있고, 그 한도가 지나치다 싶으면 마지막에 공격용(무기)까지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지금까지 우크라이나에 인도적 차원의 군수 물자를 제공했고 미국에 155㎜ 포탄을 수출해 미국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간접 지원 방식을 취했지만 이번 북한군 파병을 계기로 공격용 무기까지 지원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러시아와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부담이 큰 공격용 무기보다는 공병 장비나 방공체계, 지뢰살포 장비 등 방어용 무기 지원이 우선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또 오는 30일 미국 워싱턴DC 펜타곤에서 열리는 제56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서도 북한군 파병 대응 문제를 논의한다. SCM에는 김용현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을 비롯해 양국 국방 및 외교 분야 고위 당국자들이 참석한다. 이번 회의에서 양측은 북한군 파병이 한반도 안보 정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한편, 한미동맹 차원의 대응 방안도 논의할 전망이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정재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