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계속운전 찬성” 67.9%

2024-12-13 09:24:11 게재

에너지정보문화재단, 국민인식 조사

10명 중 9명 “고준위방폐물 처분 시급”

원자력발전(원전)이 당초 설계수명이 다했어도 안전하다면 계속운전(수명연장)을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의견이 70%에 가까웠다. 또 약 80%는 ‘원자력발전이 필요하다’고 답했지만 거주지역에 원전이 건설된다면 ‘반대할 것’이라는 응답이 찬성보다 많았다.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은 12일 ‘2024년 에너지 국민인식 조사’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기관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에 의뢰해 분기별로 전국 만 18세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면접원을 통한 일대일 전화 조사와 반기별 5개 원전소재 지역 만 18세 이상 주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대면조사를 통해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응답률은 6.3%다.

조사 결과 원전 계속운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7.9%가 찬성했고, ‘반대’ 29.7%, ‘모름·무응답’ 2.4%였다.

응답자의 80.8%는 ‘원자력발전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16.7%였다. 원전 안전성과 관련해서는 69.4%가 ‘안전하다’고 답했다.

에너지정보문화재단은 “원전 안전성과 관련한 조사 결과는 지난해 조사 이후 상승 추이를 보인다”고 밝혔다. 원전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설계·건설·운영 등 기술 전반에 대한 신뢰’가 41.3%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이미 운전 중이어서’(21%), ‘전문가나 관련 종사자들이 안전하다고 해서’(18.7%), ‘정부 및 규제 기관이 철저하게 안전 관리를 하고 있어서’(17.4%) 등이었다.

거주하는 지역에 원자력발전소가 건설될 경우 ‘반대할 것’이라는 응답이 55.1%로, ‘찬성할 것’ 42.2%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대 이유로는 ‘방사능 노출에 대한 위험 우려’가 57.0%로 가장 높게 나타난 한편 찬성 이유로는 ‘에너지 자립을 위해 필요’가 55.5%로 가장 높았다.

또 응답자의 대다수인 92.1%가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시급하지 않다’는 응답은 4.5%였다.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이 발의된 이후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6.6%, ‘모른다’는 비율은 83%로 조사됐다.

적절한 보상 및 안전성이 보장될 경우 거주 지역에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시설이 건설된다면 ‘찬성할 것’이라는 의견은 49.2%로 나타났다. ‘반대할 것’이라는 의견은 48.4%였다.

에너지 이용 관련 중요도를 살펴보면 일반국민은 ‘환경성’(48.8%)을, 원전소재 지역주민은 ‘에너지안보’(63.3%)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노동석 에너지정보문화재단 원전소통지원센터장은 “지속적인 미래에너지를 위해 국민과 소통하며, 국민신뢰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문화를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이재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