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문화재 8년 만에 60% 증가

2016-04-04 10:51:38 게재

2015년 6월 1661개 … 박물관도 30% 늘어

서울시 역사문화자원 적극 발굴·확대 영향

서울시내 역사문화자원이 8년만에 60%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 역사문화정책이 보존 중심에서 대상을 확대하고 적극 활용을 강조하는 자세로 변했기 때문이다.


4일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2015년 6월 현재 서울시 문화재 총수는 1661개로 2007년 1043개에 비해 59.3%가 증가했다. 이 가운데 국가지정문화재가 983개로 가장 많고, 시도지정문화재가 504개, 등록문화재가 174개다.

문화재가 8년 만에 급증한 것은 서울시 역사문화정책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서울연구원은 지난달 공개한 '서울시 문화자원 실태와 분포 특성(2015년 6월 기준)' 보고서에서 "서울시 역사문화정책의 중요한 변화는 유물 보존 중심의 수동적 자세에서 보존 대상을 확대하고 적극적인 활용을 강조하는 능동적 자세로 변하면서 문화재 수가 늘어났다"고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주요 문화재 중 유물과 같이 박물관에 보존돼 있지 않고 도시 내 특정장소를 차지하고 있는 문화재는 2007년 266개에서 2015년 현재 총 326개로 60개가 늘었다. 이는 서울시의 노력도 한몫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박원순 시장이 보궐선거로 당선된 이듬해인 2012년부터 역사문화자원의 현재적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역사유적들을 복원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한양도성의 유네스코 등재를 코앞에 두고 있고 백제 초기 왕궁터로 추정되는 풍납토성 발굴 역시 초읽기에 들어갔다.

게다가 시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해 적극적인 행태를 띠고 있다. 시는 보존의 대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발굴하기 시작했다. 문화재에 대한 가장 적극적인 접근방식은 서울시가 2012년 6월부터 추진하고 있는 '서울 미래유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는 근현대 서울의 모습이 담긴 문화자원이 멸실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전하기 위한 제도이다.

미래유산의 선정기준은 국가 또는 서울시 지정문화재,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것 가운데 시민들이 공유할 수 있는 공통의 기억과 감성을 지닌 근현대 서울의 유산이다. 미래유산은 도시관리 문화예술 산업노동 시민생활 정치역사 5개 유형으로 분류된다. 2013년 284건, 2014년 54건이 지정됐다.

이 가운데 공간을 차지하는 미래유산은 총 325개다. 시민생활 유형이 99개, 도시관리 유형이 86개로 절반이 넘는다.

하지만 유물과 미래유산 등 공간을 차지하는 역사문화자원이 도심권에 집중돼 있는 것은 문제로 지적된다. 공간을 차지하는 문화재 326개 가운데 절반이 넘는 173개(53.1%)가 종로구와 중구, 용산구 등 도심권에 밀집돼 있다. 다음으로 동북권에 73개(22.4%), 서남권에 30개(9.2%), 서북권에 26개(8.3%), 동남권에 24개(7.4%)가 분포돼 있다. 미래유산도 도심권에 전체 325개의 58.5%(191개)가 밀집돼 있다. 나머지는 동북권에 56개(17.2%), 서남권에 39개(12.0%), 서북권에 25개(7.7%), 동남권에 14(4.3%)가 분포돼 있다.

문화자원의 지역 편중은 박물관도 마찬가지다. 서울 시내에 박물관은 총 144곳이 운영되고 있다. 이는 2007년 111곳에 비해 33개(29.7%)가 늘어났다. 하지만 도심권에 66곳(45.8%)이 밀집돼 있다.

서울연구원은 "역사문화자원이 도심권에 집중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역사성을 갖고 있다"며 "다만 권역별 문화적 소외감을 해소하기 위해 박물관이나 작은도서관, 마을예술창작소 등 문화거점공간을 공공기관이 나서서 균형있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김선일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