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초고령사회), 앞으로 8년 … 치매노인 100만 예고

2017-02-07 10:23:14 게재

주치의제적 예방관리 필요

앞으로 8년 우리사회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100만명 치매노인이 발생할 것을 예고되고 있다. 이에 치매를 사전에 예방해 발생을 막고 조기 발견으로 중증화를 막는 주치의제적 관리시스템이 절실하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중앙치매센터 홈페이지

고병수 일차보건의료학회 회장은 "현재의 의학수준으로는 일단 치매에 걸리면 회복하기가 거의 어려운 상태이다. 그럼에도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은 사후약방식으로 대처하고 있다"며 "주치의제적 예방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예방중심의 치매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 대표도 "난치불치 환자들의 생활에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괴로움이 있다. 그 가족들의 아픔은 더 심하다"며 "치매 걸리기 전 음식, 운동, 흡연, 음주 등 생활 속 건강관리를 해 주는 의료제도를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계청 인구추계와 보건복지부 치매유병률 조사에 따르면, 2025년 우리사회는 인구 5명 중 노인이 1명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 노인은 1033만명 정도 되는데 이때 치매노인 인구수가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2030년에는 127만명, 2050년에는 271명의 치매노인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7일 현재 치매인구가 70만명을 넘어 섰다. 현재 70세인 치매환자의 경우 향후 10년간 1인당 진료비를 보면, 평균 건보부담금은 약 8000만 원이며, 법정본인부담금도 약 1600만원 정도 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급여본인부담금이 제외된 지출규모이다. 이를 포함할 경우 1억원 이상의 진료비 부담을 안게 된다.

이와 관련 고숙자 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등은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치매의 사회적 부담과 예방 및 관리 방안'연구보고서에서 "고혈압, 신체비활동, 흡연, 당뇨병, 우울증 등의 치매 위험요인에 대한 건강증진사업 및 개입전략을 통해 치매환자수를 18% 감소 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7개 개별적인 치매 위험요인의 유병률을 10% 감소시킬 경우 치매환자수 45만명 기준으로 했을 때 6329명을 추가로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고 분석됐다.

이들은 연구보고서에서 "현재 공공보건 정책에서는 금연, 심뇌혈관 질환 예방관리 등 이미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뇌건강에 대한 개념이 공공보건 정책, 건강증진 사업에 폭넓게 통합되어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규철 기자 gckim1026@naeil.com
김규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