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부동층 15.6% 확보가 승리 요인"

2017-06-08 11:11:14 게재

민주연구원 분석 자료

40% 대통령은 '한계'

'협치의 제도화' 제시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결정적 요인은 투표에 참여한 촛불부동층 25.8% 중 절대 다수인 15.6%를 확보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임사 읽는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국회 본관 로텐더홀에서 열린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해 취임사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원장 김민석)은 7일 '19대 대선평가' 분석 보고서를 통해 승리의 요인은 촛불 부동층의 대대수를 차지한 문재인 대통령의 확장력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핵심지지층은 15%에 불과했지만 대선결과 26.1%를 더 확보해 최종 41.1%로 승리했다. 문 대통령은 어떠한 경우에도 흔들리지 않는 친문핵심 지지층 15%에 기본지지층 10.5%를 기반으로 해서 추가로 15.6%라는 촛불부동층을 확보했다. 15.6%는 정권교체를 바라는 민주당지지 부동층 6.9%와 국민의당지지 부동층 1.9%, 그리고 탄핵을 찬성한 자유한국당지지 부동층 6.8%가 모두 더해진 값이다.

특히 5060세대에서의 선전이 대선 승패를 좌우했다. 5060 세대에서 여당지지 부동층을 상당 부분 빼앗아오지 않는다면 패배가 자명한 상황에서 한국당지지 부동층 6.8% 확보는 결정적 이었다. 한국당지지 부동층은 전통적으로 보수적 선택을 해왔던 50대와 60대에 균열을 가하며 문 대통령 득표율도 크게 끌어올리며 종국에는 승리의 요인이 됐다.

이러한 부동층 확보의 이면에는 표의 확장력이라는 방정식이 있었다.

고정적 지지층에만 매달리면 필패라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부동층 확보가 해법이라는 것을 알고 미리부터 준비에 나선 것이 주효했다. 문 대통령은 촛불혁명의 '이게 나라냐'는 대전제의 물음에 대해 '나라다운 나라'로 응답하고 '든든한 대통령'을 자임했다. 이것은 민주당 지지과 더불어 촛불부동층의 절대 다수의 지지를 얻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특히 대선 후반부에 적폐청산 구호를 대통합으로 바꾼 것은 부동층의 신뢰를 얻는 계기가 됐다. 적폐청산 구호가 민주당 고정 지지층과 함께 정권교체를 지지하는 부동층으로 확대됐다면 국민통합 구호는 탄핵을 찬성하는 한국당지지 부동층으로 확장할 수 있었다. 이 전략은 어대문(어차피 대통령은 문재인)으로 굳어지며 지속적인 반문시도를 무력화시키며 끝까지 대세론을 이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전통적 여야 대결이라는 '단일 운동장' 선거가 아닌 대권을 결정하는 '야당후보 결정전'과 '차기 보수 대표 주자 결정전'이라는 '두 개의 운동장'으로 나늬는 선거전이 됐다. 야당후보 결정전이 대선까지 거머쥘 가능성이 높은 1부리그였다면 2부리그는 차기 야권대표 주자 결정전이었다.

협치의 중요성도 다시 한 번 강조됐다. 보고서는 사상초유의 촛불항쟁에 따른 대통령임에도 과반을 넘지 못한 40% 대통령이라는 한계를 지적했다. 촛불 민심의 대변자인 문 대통령이 분노의 이슈에 집착하면서 극단적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반사이익의 정치로 회귀하는 것을 경계했다. 적폐청산의 목표도 대결의 정치, 대치의 시대가 아니라 타협의 정치, 협치의 시대로 대한민국을 정상화 시키는 것이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태극기 부동층의 공감까지 받을 수 있는 화이부동(화합하고 부화뇌동하지 않음)의 패치워크 정당이 돼야 성공하는 대통령이 될 수 있음도 강조했다.

곽재우 기자 dolboc@naeil.com
곽재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