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갑천 친수구역 개발사업 '삐걱'
환경부 재보완 요구
대책위 "재검토해야"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도안 갑천 친수구역 개발사업이 환경부의 환경보전방안 재보완 요구로 삐걱대고 있다. 수년째 개발을 반대해온 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사업의 전면 재검토를 주장하고 나섰다.
대전지역 28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도안 갑천지구 친수구역 개발사업 백지화 시민대책위'는 10일 대전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일 환경부가 요구한 재보완 자료를 입수 분석한 결과 재보완 내용은 사실상 인공호수공원 조성 중단과 재검토를 의미하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대책위에 따르면 환경부의 요구는 △미호종개 수달 등 법적보호종 서식처 정밀조사와 서식환경 마련 △맹꽁이 대체서식지 자연형 습지 조성 필요 △태봉취수보 기능상실 예상, 장기적인 수생태계 향상 등 조성계획 검토 △호수공원 공사로 인한 갑천에 미치는 다양한 원인과 영향 저감 대책 등 제시 △호수공원 구체적인 운영계획과 녹조 및 수질관리 대책 제시 △시민단체 우려하는 환경영향, 요구하는 사업계획 변경사항 등 중점 검토 제시 △환경전문가 자문 및 지역주민 등 의견수렴 실적을 구체적으로 제시 등이다.
대책위는 이번 환경부의 요구에 대해 "대전시가 2∼3주 안에 보완에 따른 조치의견을 국토부에 전달하겠다고 밝혔지만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면서 "대부분 최소 수개월이 필요한 사항이며 사업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들로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양흥모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인공호수공원 대신 시민들이 참여하는 생태공원을 조성하고 대규모 고층 아파트도 실수요자 중심의 저밀도 생태주거단지로 전환해야 한다"면서 "대전시는 이번에 생태섬 월평공원과 갑천의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더기 보완폭탄이 떨어진 가운데 이날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주최로 열린 '국토부 주택정책과 지역개발 대책 토론회'에선 구체적인 대안도 제기됐다. 발제에 나선 반영운 충북대학교 교수는 "대전시는 최근 인구가 줄어들고 1인 가구가 폭증하고 있다"면서 "주택공급 정책을 고밀·중대형 대신 저밀·중소형 주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 교수는 "갑천지구 개발이 불가피하다면 공공주도의 임대형 주택으로 전환하고 주변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생태 주거단지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시는 당혹해하고 있다. 오는 10월 예정됐던 도안 갑천지구 3블록 아파트 분양도 연기가 불가피하다. 대전시 관계자는 "다음주부터 환경부가 요구한 환경보전 방안 보완책을 준비해 재협의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대전 갑천 친수구역 개발사업은 대전시와 대전도시공사 등이 갑천 주변에 5300억원을 투입, 인공호수공원과 5000여세대의 주택단지를 건설하는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