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월마을 이주재원 매립지 기금으로"
주거부적합 원인 '매립지'
악취 소음 등 환경오염 탓
인천 환경단체 대책 촉구
인천지역 시민사회가 일명 쇳가루 마을로 알려진 사월마을 문제의 원인이 수도권매립지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 때문에 주민 이주대책 재원을 수도권매립지 특별회계에서 부담하라고 요구했다.
인천환경운동연합 서구지회와 환경부 비영리민간단체 글로벌에코넷, 수도권매립지 연장반대 범시민사회단체협의회 그리고 검단신도시발전협의회는 5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도권매립지 때문에 환경피해를 입은 사월마을 주민들이 암에 걸리고 영문도 모르는 채로 죽어가고 있다"며 "2020년 수도권매립지 특별회계기금을 사용해 즉각 주민이나 공장 이주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들은 이어 수도권매립지를 함께 사용한 서울시·경기도의 책임도 물었다. 이들은 "사월마을은 지난 25년간 서울·경기·인천 주민 2630만명이 배출한 온갖 쓰레기를 매립하는 과정에서 악취·소음·미세먼지·질소산화물 등 환경오염 때문에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이라며 "정부와 인천시는 물론 서울시와 경기도, 그리고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명확한 사과와 책임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특히 지난달 19일 환경부가 발표한 사월마을 주민 건강영향조사 최종발표에 대해서도 이의를 제기했다.
환경부가 사월마을 주민 건강영향조사 당시 수도권매립지를 대상에서 제외해 사실상 면죄부를 줬다는 것이다. 당시 환경부는 환경영향평가는 마을 인근 공장과 순환골재장 등을 대상으로만 실시했고, 주거환경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결론 냈다.
김선홍 글로벌에코넷 상임회장은 "지난 1992년 2월 수도권지역 폐기물을 최초 반입할 때는 사월마을과 제1매립장이 1㎞밖에 떨어져있지 않았고, 온갖 폐기물을 실은 운반차량 통행량이 상당했고 차량 덮개를 비롯해 모든 것이 허술했다"며 "제1매립장 때문에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이 사월마을인데 환경부는 피해조사를 하면서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시민단체들은 사월마을 문제의 책임이 수도권매립지에도 있는 만큼 주민 이주대책을 위한 재원을 수도권매립지특별회계 기금에서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보영 인천환경운동연합 서구지회장은 "정부와 인천시 등은 국민생명권과 건강권확보를 최대한 노력하고 수도권매립지 특별회계로 환경피해지역 사월마을 주민들을 이주시켜줄 것을 거듭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서구와 함께 사월마을 대책 전담팀을 구성해 주민 이주 방안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근본대책이 나오기 전까지 우선 악취나 소음 등 시급한 환경피해를 개선하는데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