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여파 "일자리 155만개 증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 3∼5월 일시휴직 최대
취업자 87만명 감소 … "단기간 회복 힘들어"
보고서에 따르면 일시휴직자는 △3월 161만명 △4월 149만명 △5월 102만명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인구조사가 1982년 월별로 조사주기를 변경한 이후 처음으로 100만명씩을 넘어섰다. 올해 2월까지 일시휴직 최대치는 2014년 8월 88만명으로 100만명을 넘어선 적이 없다.

2월 대비 5월에 증가한 일시휴직자는 여성(22만명)이 남성(18만명)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12만명)이 가장 많았으며 30대(8만명), 29세 이하(8만명), 40대(7만명), 50대(5만명)가 뒤를 이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직(19만명), 상용직(10만명), 자영업자(9만명) 순으로 많았으며 직업별로는 전문가(9만명), 단순노무직(8만명), 서비스직(6만명) 순이었다.
또한 코로나19 위기 석 달째인 지난달 전체 취업자의 주당 총노동시간은 2월 10억9800만 시간에서 5월 10억3600만 시간으로 2월에 비해 5.6% 감소했다. 김 이사장은 "줄어든 노동시간을 주40시간 일자리로 환산하면 일자리 155만개가 사라진 셈"이라고 지적했다.
고용충격은 청년층 여성 고령자 등 고용취약계층을 강타했다. 연령별로는 30대 일자리(40만개)가 가장 많이 감소했고 40대 36만개, 50대 33만개, 29세 이하 30만개, 60세 이상 25만개 순이었다. 감소율은 29세 이하(8.1%), 30대(6.9%), 60세 이상(5.5%)순으로 컸다. 김 이사장은 "코로나 위기에 따른 일자리 상실은 여성 고령자 임시일용직 개인서비스업 사회서비스업 단순노무직 서비스직 등 취약계층에 집중되고 있다"며 "그러나 점차 제조업과 생산자서비스업 생산직과 사무직 그리고 비임금근로자(자영업자 등)로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보고서는 코로나 위기로 감소한 취업자는 39만명이 아닌 87만명이라고 지적했다. 김유선 노사연 이사장은 이와 관련 "통계청이 발표하는 자료는 계절 요인을 통제하기 위해 전년 동월 대비를 사용하는데 코로나19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알기 위해선 지난해 같은 달이 아닌 확산 이전인 2월과 비교해야 한다"며 "계절조정자료를 통해 취업자를 분석한 결과 2월 취업자는 2752만명, 5월은 2666만명으로 총 87만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3월 취업자는 2661만명으로 1년 전보다 20만 명 감소했고, 4월 취업자는 2656만 명으로 1년 전보다 48만명 감소했다. 5월 취업자는 2693만명으로 1년 전보다 39만명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세 달간 감소한 취업자 규모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보다 심각하지만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의 감소폭에는 미치지 못했다. 2008년 11월부터 금융위기 첫 6개월간 취업자는 25만명 감소한 반면, 1998년 1∼3월 외환위기 첫 석 달 감소한 취업자는 103만명으로 집계됐다.
5월 계절조정 취업자는 4월(2650만명)에 비해 15만명 증가했다.
김 이사장은 이와 관련 "5월 중순부터 물리적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노인일자리 사업 재개, 재난지원금 지급 등 정부 정책이 효과를 거뒀기 때문"이라면서도 "그럼에도 2월 대비 5월 취업자 수가 87만명 감소한 것은 그만큼 코로나19 위기가 고용에 끼친 부정적 효과가 크고, 그 상처가 오래갈 것임을 말해준다"고 분석했다.
계절조정 실업자는 3∼5월 세 달간 31만명이 증가했다. 김 이사장은 "취업자는 87만명 감소했는데 실업자가 31만명 증가한 것은 구직활동을 포기한 비경제활동인구가 많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실업자 추이보다는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를 합친 무직자 추이를 살펴보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같은 기간 '무직자'는 92만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