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낙동강 시험대'에 섰다
30년 물분쟁 해결자 나서
환경단체·지역주민 반발
"대승적 결단" 호평도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경남지역민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경남 물 부산공급'에 동의하고 나섰다. 김 지사는 5일 경남도청에서 열린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마련 관계기관 간담회'에서 영남 5곳의 시장·도지사 명의로 '물 문제 해결을 위한 낙동강 유역 상생발전 협약'을 체결하고, 협약서를 조명래 환경부 장관에게 전달했다. 이들은 낙동강에 추가 취수원 설치를 지지하는 한편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을 '한국판 뉴딜'계획에 반영해줄 것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이들 단체장들은 환경부의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 연구용역'을 따르겠다고 합의했다. 5일 환경단체 등의 반발로 취소된 중간보고회에서 배포된 용역 보고서는 합천 황강 하류(45만톤), 창녕 강변 여과수 개발(50만톤)로 낙동강 물에 의존하는 부산과 동부경남(창원 김해 양산 함안) 주민에게 공급한다는 계획을 담았다. 부산의 경우 하루 총 소요물량 95만톤 중 47만톤은 합천 황강과 창녕지역 강변여과수를, 나머지 48만톤은 낙동강 초고도 정수처리를 통해 공급받는다는 계획이다.
김 지사가 정치적 부담에도 '낙동강 물' 문제에 적극 나선 것은 문재인 대통령 공약사항이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김 지사는 최근 "경남도민을 포함해 동남권 주민이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마시는 것은 권리"라며 "그런 물을 공급하는 것은 정부의 의무"라고 했다. 김 지사의 '워딩'은 문재인 대통령의 '의지'로 해석된다. 낙동강 물 문제는 문재인 대통령 공약사항이다. 부산에 오래 거주한 문 대통령은 특히 부산시민들이 갖는 식수원에 대한 불신을 직접 체험했다. 문 대통령이 이례적으로 2018년 말 환경부 업무보고에서 이 문제를 '콕 찍어서' 해결할 것을 주문한 배경이다.
한편 동부경남에 우선 공급한다는 단서를 달았지만, 김 지사는 이번 '용단'으로 "부울경을 아우르는 대승적 결정"이란 평가와 함께 "부산에 끌려다닌다"는 비판도 감수해야 할 처지다. 과거 이명박 정부 시절부터 추진된 '지리산댐 건설'이나 '남강댐물 공급'은 해당 지역과 환경단체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김두관 전 지사나 홍준표 전 지사 역시 논란 속에 해답을 찾지 못했다.
이번에도 환경단체들과 해당 지역 주민들은 환경부 중간보고 내용에 거세게 반발했다. 낙동강권역 환경단체들의 모임인 낙동강네트워크는 "4대강사업으로 건설한 낙동강 8개 보의 처리방안과 수문 개방 계획이 빠진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은 낙동강을 포기하는 것이다. 여기에 취수원 이전까지 포함시키는 것은 낙동강 죽이기에 박차를 가하는 것"이라며 환경부장관 사퇴를 요구했다.
합천군민 300여명은 버스 8대를 타고 창원컨벤션센터로 와서 중간보고회 반대집회를 열었다. 김명기 '황강취수장 결사반대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4대강사업이 거론되기도 전인 1996년에도 정부는 합천 황강 물을 끌어다가 부산에 보내려고 했다. 그런데 4대강사업이 끝난 지금에 와서 또다시 황강 물을 끌어다가 부산에 보내려 한다. 350만 부산시민을 살리자고 5만 합천군민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창녕군 역시 강변여과수 대규모 개발에 과거부터 반대해 현재 수자원공사는 1곳에만 시범공을 뚫었을 뿐이다. '대통령 복심'이라는 김 지사가 이들을 어떻게 설득할지 관심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