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하는 지자체 '공유자전거'

2020-10-07 11:27:07 게재

첨단기술 접목, 전기자전거 확산

민간업체 간 경쟁도 치열해질 듯

경기도 지자체들이 민간기업과 손잡고 첨단기술을 접목한 '공유자전거'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위치추적·사물인터넷 기능을 접목해 거치대가 필요없는 자전거를 선보이는가하면 전기자전거 서비스 지역도 확대되고 있다. 지자체 공유자전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민간업체들 간의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경기 수원시가 지난달 21일 무인대여 공유자전거 '타조' 출시행사를 가졌다. 사진 수원시 제공


수원시는 10월부터 무인대여 자전거 '타조(TAZO)' 서비스를 정식으로 시작했다. 타조는 거치대가 필요없는 무인대여 공유자전거로, 수원시와 KT, 옴니시스템의 협업으로 탄생했다. KT가 공유자전거 운영 플랫폼과 무선통신 시스템, 잠금장치 등을 개발하고, 옴니시스템은 자전거 공급과 사용자 앱 서비스 등 운영을 총괄한다. 지난달 28일부터 1000대를 투입해 서비스 중이며 내년 상반기 중에 2000대를 추가할 예정이다. 타조는 스마타폰을 활용해 GPS가 장착된 자전거를 주차공간이 있는 곳이면 수원시내 어디서든 간편하게 대여하고 반납할 수 있다. '타조' 앱을 휴대폰에 설치하고 회원가입, 신용·체크카드 등록을 마친 뒤 앱에 표시된 자전거 위치를 확인, 가까운 곳의 자전거에 QR코드를 스캔하면 이용할 수 있다. 요금은 20분에 500원(기본요금)이고, 10분에 200원씩 추가된다. 30일 정액권은 1만원이다. 전용콜센터(1577-5942)와 홈페이지도 운영하고 있다. 수원시 관계자는 "대중교통과 연계해 이용할 수 있도록 T머니 교통카드 결재도 가능하도록 보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기자전거로 공유자전거 서비스에 나선 지자체들도 늘고 있다. 우선 카카오모빌리티가 지자체와 협약을 맺고 공유 전기자전거인 '카카오T바이크'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위례신도시가 위치한 서울 송파구와 경기 성남시, 하남시에서 '카카오T바이크' 서비스를 시작했고 지난달 23일부터는 안산시에서도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안산시는 올해 말까지 500대를 투입해 운영한 뒤 내년에 1000대로 늘릴 예정이다. 안산시는 시범운영 결과를 분석해 '카카오T바이크'를 정식 도입할 경우 현재 시가 운영 중인 공영자전거 '페달로'(1500대)는 점차 줄여나갈 방침이다. 경기 김포시와 부천시, 세종시 등은 '나인투원'과 전기 공유자전거 '일레클'을 시범 운영하고 있다. 김포시는 지난달 15일부터, 부천시는 22일부터 연말까지 시범 운영한다.

'일레클'이나 '카카오T바이크' 모두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자전거를 검색해 QR코드나 일련번호 인증과정을 거쳐 이용한 후 요금을 결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다만 지하철역 주변 등 정해진 구역에 반납해야 하고 이용요금이 일반자전거보다 비싸다. 일레클은 최초 5분간 1100원(보험료 100원 포함), 1분마다 100원이 추가되고 별도 보증금이 없다. 반면 카카오T바이크는 최초 대여 후 15분간 1500원, 이후 1분당 100원이 추가되며 별도로 보증금 1만원을 지불해야 한다. 일레클은 시속 25㎞, 카카오T바이크는 시속 20㎞까지 낼 수 있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전기자전거 이용요금이 비싸다거나 거리기준이 아닌 시간기준이어서 요금을 적게 내려면 최대 속도로 달려야 해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등의 비판도 나온다. 따라서 이용요금과 편리성 등을 놓고 민간업체들 사이에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타조'를 운영하는 옴니시스템 관계자는 "타조 플랫폼은 전국 어디서나 적용할 수 있고 전기자전거도 활용할 수 있게 설계해 수원을 시작으로 서비스 지역을 넓혀갈 계획"이라며 "기존 전기자전거 서비스 업체들을 비롯해 민간업체들 사이에 지자체 공유자전거 시장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곽태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