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AI로 도시변화 탐지
국립공원 추적시스템 적용
불법 적발·도시개발 활용
대전시가 전국 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도시 모니터링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한다. 정부의 국립공원 환경변화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도시에 적용한 사례다.
대전시는 "도시 변화탐지에 인공지능을 도입, 도시계획 개발제한구역관리에 활용한다"고 19일 밝혔다.
대전시에 따르면 새로 도입하는 인공지능 판독은 인공지능기술을 항공사진 이미지 분석과 추적에 적용, 지형지물 변동과 같은 도시변화를 탐지한다.
그동안 도시 모니터링은 육안에 의존해왔다. 판독사가 연 1300매(2019년 기준)의 항공사진을 판독안경, 3D판독기를 활용해 육안으로 판독했다. 하지만 이 같은 방식은 판독사 개인별 판독기술과 노하우 등의 차이로 판독과정에서 일부 누락이 발생하기도 했다. 수작업으로 인한 판독에만 4∼5개월이 걸렸다.
반면 이번에 도입하는 인공지능은 연도별 항공영상에 대한 이미지 패턴을 분석하고 추적을 통해 도시변화를 탐지하며 균일한 조건식으로 판독하기 때문에 누락과 판독오류가 낮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대전시 판독과정의 60%에 해당하는 1차 판독은 인공지능이 담당하고 판독사는 인공지능 판독성과에 대한 검사판독, 성과분류 등의 역할을 수행해 인공지능 판독의 불안요소를 방지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인공지능 판독기술을 기존 위반 건축물,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행위 관리에 우선 활용하고 도시계획 도시개발 환경 교통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도를 넓혀갈 예정이다. 자치구와 판독결과를 공유, 관리·단속 업무를 지원하고 시민들 재산권 행사, 이의신청자료, 소송과 분쟁 등의 지원에도 활용할 방침이다. 또 지역 내 인공지능 관련 기업과 연구소, 대학 중심으로 AI클러스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전국 지자체 처음으로 인공지능 분석기법을 적용한 적극행정 사례"라며 "인공지능 모니터링 결과를 시민들에게 다양한 콘텐츠 형식으로 제공해 누구나 쉽게 접하는 도시공간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