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4번째 '최악의 살인기업' 선정
시민·노동단체, 지난해 하청노동자 6명 산재 사망 … 특별상은 현대산업개발, 경총
지난해 현대건설에선 하청노동자 6명이 숨졌다. 현대건설은 2006년과 2012년, 2015년에도 '최악의 살인기업'으로 선정돼 이번이 네번째다.
노동건강연대·민주노총 등으로 구성된 '산재사망대책마련 공동캠페인단'은 27일 서울 종로 현대건설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2 최악의 살인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강은미 정의당 의원과 산재피해 가족 네트워크 '다시는'이 공동주최했다.
공동캠페인단은 2006년부터 매년 최악의 살인기업 선정식을 통해 직전 해에 가장 많은 산재사망사고가 발생한 기업을 발표하고 있다. 기업 선정은 고용노동부의 '2021 중대재해 사고사망자 2명 이상 발생기업' 자료를 바탕으로 했다. 원청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기 위해 하청에서 일어난 사망사고까지 합산한다.
현대건설 작업현장에서는 지난해 1월 노동자 1명이 지하 1층 환기구에서 지하 4층으로 떨어져 숨진 것을 시작으로 쓰레기를 청소하던 중 돌 파편에 맞거나, 터파기 현장에 앉아 있다가 굴착기와 부딪혀 숨지는 등 6명의 하청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
공동캠페인단은 "현대건설은 2006년과 2012년, 2015년에도 '최악의 살인기업'으로 선정됐다"면서 "해마다 노동자가 떨어지고 끼이고 돌에 맞아 사망했지만 어떠한 책임도 재발방지 대책도 찾아볼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2위 기업은 지난해 8월 경북 상주공장에서 화장품 원료를 만들다 폭발사고로 5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은 대평이었다. 공동 3위는 대우건설과 태영건설이었다. 각각 4명의 하청노동자가 협착 깔림 질식 등으로 숨졌다. 공동 5위는 3명의 노동자가 사망한 이일산업, 한양, 현대중공업, SK TNS, S&I건설이 선정됐다.
1위부터 공동 5위로 선정된 9개 기업에서 숨진 노동자 34명 중 하청업체 소속 노동자가 79%(27명)이었다.
공동캠페인단은 올해 최악의 살인기업 특별상에 현대산업개발을 선정했다. 지난해 6월 9일 현대산업개발이 시공을 맡은 광주 학동 아파트 재개발 현장에서 5층 건물을 철거하던 중 건물 외벽이 무너지면서 버스정류장을 덮쳐 버스 승객 7명이 숨지고 9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어 1년도 안된 올해 1월 11일에는 역시 현대산업개발이 시공사인 광주 화정동 아이파크 아파트 타설작업 중 붕괴사고로 하청노동자 6명이 숨지고 1명이 다치는 참사가 반복됐다.
공동캠페인단은 "특별한 최악의 살인기업이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현대산업개발은 끊임없이 중대재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돈을 쫓느라 법을 위반하고 노동자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방치했지만 지금까지 누구 하나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고 밝혔다.
공동캠패인단은 "올해 1월 27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삼표산업 채석장 붕괴사고, 요진건설산업 엘리베이터 추락사고, 여천NCC 폭발사고 등으로 노동자 죽음의 행렬이 계속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또 다른 특별상은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을 선정했다. 공동캠페인단은 "경총은 국회에서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논의가 본격화된 2020년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법의 취지와 목적을 폄훼하고 무력화시키는데 혈안이다"라고 비판했다.
강은미 의원은 "1년에 2000여명이 산재로 사망하는 현실에서 사람의 목숨을 갈아 넣는 기업 경영은 경영을 빙자한 살인"이라며 "돈을 벌기 위해 노동자를 죽이는 살인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민주노총 강원지역본부는 올해 강원지역 '최악의 살인기업'으로 쌍용C&E를 꼽았다.
강원본부는 같은 날 고용부 강릉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월 동해시 쌍용씨앤이 공장에서 사망사고 발생 전에도 2021년 5월과 7월, 2019년 12월 등 계속해서 중대재해가 발생한 죽음의 공장"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