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시장 리스크 '금융위기 수준'
2022-09-30 11:27:54 게재
'CDS프리미엄' 연중 최고
30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전일 오후 3시 5년 만기 외평채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58bp(1bp=0.01%p)를 기록했다. 지난 7월 6일 기록한 연중 최고치(종가 기준) 56bp를 넘었다. 9월 초 31bp까지 떨어진 CDS 프리미엄은 지난 2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미 연준이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p 인상)을 결정한 직후인 22일엔 45bp, 23일엔 50bp로 올라섰다.
CDS는 채권이 부도날 경우 거래 상대방으로부터 원금을 받을 수 있는 파생상품이다. 한국 정부의 외평채 부도 우려가 클수록 CDS에 붙는 보험료(프리미엄)도 올라간다.
달러 유동성 지표인 스와프베이시스(통화스와프 금리에서 이자율스와프 금리를 뺀 값)도 역전폭이 커지고 있다. 이달 초 70bp 안팎이던 1년 만기 스와프베이시스는 지속적으로 벌어져 28일 -143bp를 기록했다. 국내에서 달러를 구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뜻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투자증권이 G10 통화를 대상으로 달러화대비 변동률을 계산한 후 외환시장의 시스템리스크 지표를 산출한 결과 평균 73%로 주식시장 평균보다 높게 나왔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시스템리스크는 80% 수준이었다.
시스템 리스크란 개별 기업의 부실위험과 달리 금융시스템 전체가 부실화되는 위험을 의미한다. 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 금융기관 또는 위험자산 간 위험의 전염, 디레버리징과 유동성 위축, 위험자산 가격 하락과 안전자산 도피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현재 외환시장의 시스템 리스크 지표는 전고점에 가깝게 상승해 있다. 금융위기 당시 80%로 치솟았던 외환시장 시스템리스크 지표는 2011년 이후 하락하며 달러 환율 모두 낮은 수준에서 안정된 기간이 이어졌다. 그러다 2020년 코로나 위기를 기점으로 급반등했던 시스템 리스크 지표는 소폭 하락한 뒤 최근 다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정현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외환시장이 국내 주식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동조현상을 보이고 금리와 같은 소수의 거시경제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며 "외환 옵션시장에 반영되어 있는 투자자들의 기대변동성과 비교해, 글로벌 외환시장의 체계적인 리스크가 실제로는 더욱 높은 수준일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영숙 기자 kys@naeil.com
김영숙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