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자치구마다 재난안전상황실

2023-05-19 12:08:53 게재

8월까지 구축 완료

24시간 전담인력 체제

서울 모든 자치구에 재난안전상황실이 꾸려진다. 서울시는 정부가 추진하는 전국 시·군·구 재난안전상황실 설치에 발맞춰 선제적으로 서울 자치구에서 오는 8월까지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중구 종로구 동작구 등 15개 자치구는 재난안전상황실 운영에 들어갔다. 노원구 영등포구 등 10개 자치구도 오는 6~8월 중 운영을 시작한다.

재난안전상황실은 24시간 전담 인력 체제다. 그간 대다수 기초지자체는 전담인력이 부족해 야간에는 당직자가 상황실을 맡았다. 상황실 전담인력이 아니다보니 비상상황 발생 시 대응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근무 인력이 너무 적은 부분도 문제로 지적됐다. 시·군·구의 경우 사고 현장 대응과 동시에 상황 전파도 해야 하는데 당직자 1명으로는 원활한 대응이 어렵기 때문이다.

서울 자치구들은 상대적으로 많은 인력, 시스템을 갖추고 재난안전 감시를 벌였지만 이번엔 보다 촘촘한 체계를 갖추게 된다.

서울시는 25개 자치구 모두에 예산을 지원해 정부가 추진하는 사업을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모든 시·군·구에 재난안전상황실을 갖추는 작업을 2025년까지 마무리한다는 목표다.

자치구들은 시 지원을 바탕으로 인력을 채용·조정해 전담 근무 인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구마다 별도로 운영하는 CCTV 관제센터와 상황실을 연계해 재난상황 시 CCTV 화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 국가 시스템과 연동도 추진한다. 상황실에 국가재난관리정보 시스템(NDMS)과 재난안전통신망을 갖춰 관계 기관 간 빠른 소통과 상황 전파가 가능하도록 했다.

서울시는 정부에 앞서 재난안전상황실 구축에 나섰지만 일부에선 전국 차원에서 구축이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 방침이 권고성이어서 강제력이 없는데다 현 정부의 기본적인 기조가 인력감축이기 때문이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인력을 새로 확보하던가 다른 부서에서 상황실로 인력을 보내던가 지자체장의 강력한 의지가 없으면 실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태원참사 당시 용산구를 비롯한 다수의 자치구가 관제센터 운영을 외부업체에 맡기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인력도 외부에서 충당하고 있었고 이는 부실한 상황실 운영과 재난대응 체계 공백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제형 기자 brother@naeil.com
이제형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