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 눈

충청권 메가시티에 거는 기대

2023-11-22 11:00:14 게재
충청권 4개 시·도가 최근 '준비된 메가시티, 충청시대 선포식'을 개최했다. 내년 7월 특별지방자치단체 출범을 목표로 한 이벤트다.

충청권 4개 시·도는 오랜 기간 충청권 메가시티(광역생활경제권) 구축을 추진해왔다. 갈수록 몸집이 커지는 수도권과 정치적 영향력이 강한 영호남 사이에서의 생존전략이다.

요즘 오해가 있으니 개념부터 정리해보자. 메가시티는 하나의 광역생활경제권을 말한다. 법적으론 복수의 지자체가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성하는 특별지방자치단체다. 행정·법적으로 지자체를 합치는 행정통합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행정통합인 경기 김포시의 서울 편입과는 한참 먼 개념이다.

비수도권 메가시티는 이미 구축돼 있는 거대한 '서울 메가시티'와 경쟁하기 위해 비수도권 지자체들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취지에서 시작했다. 덩치를 키워 경쟁하자는 의미다. 실제 인접한 지자체들은 없는 살림에 서로 중복투자를 하며 사생결단을 벌이는 곳들도 있다.

한때 대구시와 경북도, 광주시와 전남도가 행정통합에 나섰지만 감정만 상하고 없던 일이 됐다. 그래서 나온 게 메가시티다. 무리하게 행정통합을 추진할 게 아니라 인접 지자체들이 느슨한 형태로 힘을 모아 공통 목표를 도모하자는 개념이다.

부울경(부산·울산·경남)이 먼저 시작했다. 하지만 규약까지 만들고 출범 직전이었던 부울경 메가시티는 지난해 단체장이 바뀐 뒤 중단됐다.

이제 남은 것은 충청권이다. 충청권 메가시티마저 실패할 경우 관련 논의는 당분간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 다행인 것은 충청권 4개 시·도는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단체장이 모두 바뀌고 정당까지 바뀌었지만 진행형이라는 사실이다. 오히려 빨라지고 있다. 충청권 메가시티에 거는 기대가 큰 이유다. 잘 운영한다면 충청권 발전뿐 아니라 '서울 메가시티'와 상생하는 새로운 비수도권 모델을 만들 수 있다.

물론 갈 길은 멀다. 당장 메가시티 초광역의회 의석수를 인구수로 나눌지, 균등하게 나눌지 논쟁 중이다. 단순한 논쟁일 수 있지만 어찌 보면 충청권 메가시티 성격 자체를 규정하는 논쟁일 수 있다.

단체장과 의회 등 상층 중심의 연대가 아니라 주민들 사이에 공감대와 일체감 등을 형성하는 것은 무엇보다 큰 과제다. 공동 유치한 '2027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도로 철도 등 광역교통망 구축 등이 성과를 낸다면 주민들 사이에 메가시티에 대한 효능감은 크게 높아질 것이다.

빼놓을 수 없는 게 중앙정부의 지원이다. 충청권 4개 시·도가 주연이지만 중앙정부의 일관된 지원이 있다면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다.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
윤여운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