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 폭염 피해 최소화 ‘안간힘’

2024-07-29 13:00:02 게재

취약계층에 안전 일자리·숙소 등 제공

“지역별 맞춤형 폭염대책 필요” 지적도

최근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가며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조만간 장마가 끝나면 이상기후 영향으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무더운 여름이 될 것”이라며 폭염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지자체들도 역대급 폭염에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놓고 있다.

폭염 대비 국민행동요령 (행정안전부 제공)

29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광주시의 경우 폐지수집 어르신에게 폭염기간에 안전일자리를 제공, 눈길을 끌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4월 ‘재활용품 수거인 지원 조례’를 개정해 시행했다. 이에 따라 5개 자치구가 전수조사를 바탕으로 폐지수집 어르신이 참여하는 ‘자원재생활동단’을 운영한다. 참여자들은 오는 8월 동안 주 2회, 오후 1시부터 오후 3시까지 행정복지센터 등 지정된 장소에서 재활용품 선별작업 등을 수행하고 경비 20만원을 받는다. 광주시는 또 폐지수집 어르신 607명을 대상으로 ‘폭염 안전물품 꾸러미’를 지급하고 KB국민은행과 함께 ‘맞춤형 경량 손수레’를 제작 보급하고 있다.

경남 창녕군은 폭염특보대책 기간에 돌입한 지난 5월말부터 확성기가 부착된 드론을 띄워 폭염 경고방송을 하고 있다. 야외 작업자가 많은 논·밭과 소규모 공사장에 투입해 ‘야외 활동 자제’ ‘폭염 3대 안전수칙’을 알리고 있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지난 23일 창녕군 도천면 비닐하우스 영농현장을 방문해 드론 영상관제를 통한 현장예찰과 드론에 부착된 앰프장치를 활용한 폭염경고방송 등 현장대응활동을 직접 살피기도 했다. 창녕은 올해 경남에서 처음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가 발생한 바 있다.

서울 영등포구는 더위에 취약한 어르신을 위해 호텔 4곳과 협약을 맺고 ‘안전숙소’를 운영한다. 지원대상은 가정 내 냉방시설을 갖추지 못해 폭염에 취약한 65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이다. 운영기간은 7월부터 9월까지이며, 해당 기간 내에 폭염특보가 발령되면 저녁 8시부터 다음날 아침 8시까지, 1인 1실로 이용 가능하다. ‘안전숙소’ 2곳은 무료 조식까지 제공한다.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로 불리는 대구시도 폭염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선 생활지원사 노인돌보미 자율방재단 등 재난도우미 5312명이 취약노인 쪽방주민 노숙인 건강취약계층을 돌보고 있다. 대구에서는 26일까지 온열환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대구시 ‘클린로드 시스템(도로 고정식 살수장치)’은 도시열섬 효과를 완화하는데 톡톡한 역할을 하고 있다. 폭염주의보와 경보가 발령되면 하루 4회에 걸쳐 물을 도로 위에 뿌리는 장치다. 대구시에는 현재 클린로드시스템이 10개구간 21㎞로 확대 설치돼 1회에 418톤의 물이 도로에 살포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수시로 도로 표면위에 물을 뿌려주면 표면온도가 20도 정도 낮아져 도시열섬현상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농촌·도시 등 지역별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폭염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폭염을 주로 자연재해 관점에서 중앙정부 주도로 대응하면서 지역 현실과 맞지 않을 때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경기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폭염 속 숨겨진 이웃을 보호합시다’란 보고서에서 “노령인구 실외작업이 많은 농촌지역 온열질환 발생이 전국 평균보다 2배 높은데 상당수 농업인이 온열질환 치료를 받지 않고 76%는 무더위쉼터를 방문하지 않는다”며 “무더위쉼터 위치선정부터 취약계층 거주분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경기도내 10개 시·군이 폭염피해 예방관련 조례를 만들어 대응하고 있으나 정확한 취약계층과 취약지역을 설정하지 않고 온열저감시설 쉼터운영 등을 추진해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김한수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정보센터장은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공간과 대상이 명확한 핀셋 정책의 시행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가 필요하다”며 “경기도 전역의 세부적인 열쾌적성을 분석한 공간정보에 기반한 취약지역 설정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곽태영·이제형·방국진·최세호 기자

tykwak@naeil.com

곽태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