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자산매각 후 다시 사용' 유동성 공급 기회

2021-06-04 10:44:09 게재

캠코, 첫 동산담보 직접 매입

매달 심사해 매입여부 결정

5가지 지원프로그램 운영

캠코가 기업의 부동산을 매입 후 재임대하는 '세일앤리스백'(S&LB) 방식을 동산담보(기계·기구)에 적용, 자금난을 겪고 있는 기업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프로그램을 처음으로 실행했다.

지난달 27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캠코양재타워에서 개최된 제1차 동산인수심의위원회에서 캠코 동산인수심의 위원들이 심의 대상기업에 대한 동산담보 매입여부를 심의하고 있다. 사진 캠코 제공


4일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동산금융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자회사 캠코동산금융지원은 지난달 동산인수심의위원회를 열고 자동차부품 제조기업이 보유한 기계 12점(약 3억원 규모)의 매입을 결정했다.

동산담보물 직접매입 프로그램은 캠코동산금융지원이 기업의 동산담보를 매입해 유동성을 공급하고, 해당 동산담보를 기업이 사용할 수 있도록 재임대해주는 제도다. 임대기간은 4년으로 결정됐고 이후 경영정상화가 이뤄지면 기업이 해당 자산을 재매입하는 조건이다. 캠코는 매달 심사를 통해 기업의 동산가치를 평가하고 동산담보의 매입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올해 3월말 기준 은행권 동산담보대출(지식재산권 제외) 잔액은 1조680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조685억원 대비 57% 증가했다. 캠코는 지난해 7월 10개 금융회사와 '동산담보부채권 매입약정 프로그램'을 체결했다. 은행이 동산담보대출을 실행한 이후 기업의 연체 등 부실이 발생하는 경우 캠코동산금융지원이 약정에 따라 은행의 부실채권을 인수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캠코의 동산담보 직접 매입은 처음으로 이뤄졌지만 기업의 자산을 매입한 후 임대하는 프로그램은 2015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캠코는 올해 3월말 기준 50개사의 자산을 매입해 6522억원을 지원했다. 기업들은 5102억원의 대출을 갚을 수 있었고 12개사는 회생절차를 종결했다.

캠코는 IBK기업은행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국산업단지공단, 법원과 부산은행 등 27개 기관과 협약을 체결하고 이들이 추천한 기업자산 중 인수 타당성과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의 자산을 인수하고 있다.

캠코는 기업의 부동산·동산 매입 후 재임대 방식을 포함해 5가지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 해운업계 유동성 지원을 위해 마련된 캠코선박펀드는 국적선박의 해외 헐값 매각을 막고 해운사 구조조정에 역할을 하고 있다. 올해 3월말 기준 벌크선 등 20개 해운사 80척 인수를 위해 약 1조1881억원이 투입되는 등 약 2조483억원 규모의 캠코선박펀드가 조성·운용되고 있다.

캠코는 또 자체신용으로 회사채 발행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담보부사채 발행을 지원하고 있다. 담보부사채 발행기업에 신용공여(지급보증)를 제공하고 담보부동산의 처분대금에 대한 우선변제권을 취득하는 방식이다. 증권사, 신탁사, 신용평가사 등과 협업을 통해 올해 3월말 기준 7개사에 1720억원을 지급보증했다.

또한 법정관리절차를 밟고 있는 중소기업 중에서 제기 가능성이 높은 곳을 선정해 신규자금을 공급하고, '패키지형 회생기업 금융지원 프로그램'도 마련해 관계기관들과 함께 경영정상화를 지원하고 있다. 올해 3월말 기준 53개 기업이 368억원을 공급받아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회생절차에 들어간 기업들은 채권·채무 동결과 강력한 채무재조정으로 부채비율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지만 신규자금 조달이 어려워 정상적인 영업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법정관리 기업은 채권은행의 신규자금을 지원받기 어렵고 중소기업들은 특히 지원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금융지원의 사각지대에 있다. 캠코는 중소·회생기업을 대상으로 실효성 있는 기업구조조정 지원제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보다 체계화하고 지원 대상기업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캠코, 법정관리 중기 53곳에 368억 지원

이경기 기자 cellin@naeil.com
이경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