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중요농업유산 '완주 토종생강' 조성지, 희귀 동·식물 '보고'
완주군 봉실산·고산천 주변 생태조사
"생강 전통농업시스템으로 보존·운영"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완주 토종생강의 시범포 조성지에서 100여 종의 동식물과 희귀식물이 서식하고, 멸종위기 야생동물이 출연한다는 첫 조사 보고서가 나왔다. 완주생강 생산지가 생물다양성의 보고로 재조명 될 가능성이 열렸다는 평가다.
전북 완주군은 지난달 29일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3호 완주생강 전통농업시스템 중장기 보전·관리 체계 구축 및 활용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누리넷과 동국대(바이오환경공학)가 완주군 봉실산 주변 구릉지대와 고산천 평야지대에 있는 완주 토종생강 시범포 조성지 3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다. 완주생강 조성지의 다양한 생태계가 구체적인 수치로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르면 늦여름인 9월 5일과 6일, 가을 초입의 10월 7일과 8일 등 4회 현장조사에 나선 결과 90여 종의 식물이 분포하고 100여 종의 육상곤충이 출현했다. 전국 경작지에서 흔히 자생하는 식물과 함께 희귀식물(약관심종 새박 1종)의 소수 개체도 유기농업지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리쟁이와 별꽃, 토끼풀 등 국내에 유입되어 야생화 된 귀화식물 30여 종도 확인됐다.
육상곤충 역시 한국 고유종인 산바퀴와 큰집게벌레, 모메뚜기, 방아깨비 등 15종을 포함하여 무려 105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 목별로는 노린재목이 29.5%로 가장 많았고, 나비목 18.1%, 메뚜기목과 딱정벌레목 각각 12.4%, 파리목 11.4% 등의 순이었다.
조류 역시 꿩과 검은댕기해오라기, 황로, 왜가리, 중대백로, 쇠백로 등 9목 17과 26종이 확인됐으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새호리기 1종은 생강 재배지 일대 전봇대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상공에 비행 중인 모습이 확인되기도 했다.
이밖에 청개구리와 참개구리 등 양서류 2종과 유혈목 등 파충류 1종, 족제비와 고라니 등 포유류 2종이 출현하는 등 토종생강 시범포 조성지가 생태계의 다양성을 유지한 채 살아 숨 쉬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전통농업지와 유기농업지, 관행농업지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식물은 51~61종이 분포했으며, 육상곤충은 34~71종이 서식했고, 조류와 양서류, 파충류와 포유류 등의 서식지 적합 여부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토종생강 시범포 조성지가 비옥한 사질토와 수분 함량이 높아 습기를 좋아하는 호습성 식물 생육의 적지여서 개구리자리와 새박, 가는 마디꽃, 좀부처꽃, 여뀌바늘, 논뚝외풀, 미국외풀, 밭뚝외풀, 드렁새, 반하, 바람하늘지기, 알방동사니 등 다수가 분포해 있다고 분석했다.
또 생태적 관리를 통해 육상곤충의 종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농약과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는 전통농업지의 경우 국화과와 벼과 식물 등 경작 식생이 우점해 다양한 종류의 식식성(植食性) 곤충이 확인된 것이다.
연구팀은 토종생강 조성지의 식생에 대한 구체적 수치가 확인된 만큼 생물 다양성이 확인된 만큼 향후 농업유형별로 지표종을 선정해 농업생물종을 보존하고 서식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정 생물과 희귀 동·식물 보존을 위한 안내판과 보호펜스 설치, 시민참여 교육을 통한 보전활동 등이 필요하다는 덧붙였다.
박성일 완주군수는 "토종생강 시범포 조성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생물 다양성이 살아 있음을 확인한 만큼 보존과 관리방안 등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며 "향후 생강 전통농업시스템의 보존과 활용 계획도 수립하고 주민 주도의 운영체계 구축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