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 탄소수지 평가, 감축이행 점검

2021-12-29 11:36:00 게재

환경부, 중장기 기술개발 전략

통합물관리로 녹색인프라 강화

전국토의 탄소수지를 평가 관리하는 등 탄소감축 이행 정도를 점검하는 기술 개발을 강화한다. 또한 국가 차원의 통합물관리 물순환 기술개발을 통해 녹색인프라를 확대할 방침이다.

녹색인프라는 에너지효율이나 교통 물순환 생태환경 등 다양한 요소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대표적인 예로 생태계 기능회복을 목표로 만들어진 자연적인 공간 혹은 자연에 가까운 공간인 공원이나 산림 등을 들 수 있다.

◆전과정 관점의 자원순환기술 개발 =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2030년까지의 연구개발 추진 방향을 담은 '환경기술개발 추진전략(2021~2030년)'을 수립했다고 29일 밝혔다. 지속가능한 녹색사회를 이끌고 미래 환경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이번 추진 전략의 비전은 '환경기술 혁신으로 지속가능한 녹색사회 견인'이다. △탄소중립 이행기반 마련 △녹색 기반시설(인프라) 강화 △환경 안전사회 구축 등을 기조로 30개 중점 추진기술을 추진한다.

'탄소중립 이행기반 마련' 전략은 탄소중립-순환경제간 연계성을 고려한 기후기술 및 자원순환 기술의 통합관리가 주요 내용이다. △기후변화 예측 고도화 △온실가스 감축으로 기후변화 완화 △순환경제 활성화 등 3개 중점영역으로 구성됐다. 폐자원으로 그린 수소 에너지 생산·공급망을 구축하고 습지 등 자연기반해법(NBS) 활용 신규 탄소흡수원을 개발한다. NBS란 자연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관리·복원을 통해 사회문제에 대처하는 방식을 말한다.

또한 원료 제조 유통 소비 재생 등 전과정 관점의 자원순환기술을 개발한다. 금속계 폐기물·폐배터리·폐패널 등 도시광산으로 불리는 폐자원들을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주력한다. 가축분뇨, 하수찌꺼기, 음식물쓰레기, 동물성 잔재물 등을 활용한 메탄과 수소 생산 기술 실증화에도 중점을 둔다.

◆탄소중립도시 실현위한 기술 실증화 = 내년부터 국토교통부의 하천 업무가 환경부로 넘어오면서 진정한 통합물관리가 이뤄진다. 통합물관리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술개발도 대대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통합물관리와 생태역량 제고로 녹색인프라를 강화, 궁극적으로 기후위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녹색 기반시설 강화' 전략은 국가 물순환 및 통합물관리를 지원하는 스마트 물관리 기술을 비롯해 생태서비스와 국토환경분야의 녹색 기반시설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물순환 및 수생태계 보전 △수자원 및 수재해 관리 △국토환경 생태계 서비스 가치 향상 등 3개 중점 영역으로 구성했다. 국가 차원의 통합 디지털 물순환 기술개발이 이뤄진다. 물 정보 통합(측정 분석 정보), 수요-공급 통합(모델링 대체수자원), 유역물순환(유역분석 수문·기상 수재해예측) 기술 등이다. 탄소중립도시 실현을 위한 자연생태기반·저영향개발 등 녹색인프라 조성 기술도 실증화한다.

'환경안전사회 구축' 전략은 국민체감도 및 생활환경질의 중요성을 고려해 환경보건 화학안전과 함께 안전사회 구축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환경성 질환 및 환경유해인자 스마트관리'와 '국민체감 청정공기 및 실내공기질 관리' 등 2개 중점영역으로 구성했다.

보다 체계적인 연구개발(R&D) 기획·관리와 성과물에 대한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각 분야간 융·복합 과제 추진 △환경정책과 연관된 재정사업과의 연계 △지역 거점 클러스터 활용 현장실증 △대규모 기반시설(인프라) 투자와 연계한 기술사업화 촉진 등도 강화한다.

장기복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이번 환경기술개발 추진전략은 탄소중립 실현을 비롯해 그린뉴딜 등 국내외 여러 환경여건 변화와 국민의 환경복지에 대한 욕구를 실현시키기 위한 최첨단 연구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며 "이번 추진전략 수립을 통해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 미래를 준비하는 탄소중립'이라는 환경부의 목표 달성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아영 기자 aykim@naeil.com
김아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