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하 대책 빈틈 채운 '돌봄공무원'
578가구에 812명 출동
서울시·자치구 신속대응
11일 서울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오후 6시 50분 기준 폭우로 인한 소방활동은 총 176건으로 집계됐다. 인명구조가 1건, 침수 등 안전조치가 19건, 배수지원이 156건 등이었다.
영등포구 신길동과 서초구 방배동 등에서 7건의 도로침수가 있었고 주택침수는 신고되지 않았다.
비가 시간당 70㎜ 선에서 그쳐 도로 침수가 발생하지 않은 것이 첫번째 원인이지만 지자체 대응도 주효했다.
서울시와 자치구는 올해 반지하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 침수 예·경보제와 동행파트너를 도입했다.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사전에 경보를 발령하고 예·경보가 발령될 경우 이웃 주민과 공무원이 반지하에 거주하는 재해약자의 신속한 대피를 돕는 제도다.
시는 11일 오후 3시 17분경 서울 동남·서남권 11개 자치구에 침수예보를 발령하고 해당 지역 578가구에 동행파트너 812명을 출동시켰다. 이들은 침수 위험 요소를 확인하고 거주자들 안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했다. 비가 집에 들이치면 거동이 불편한 반지하 거주자들의 대피도 돕는다.
과잉대응도 큰 피해 예방에 득이 됐다. 오후 3시 20분부터 서울시 868명, 자치구 6503명 인원이 비상 근무에 돌입했다. 오후 8시 서울 전역 호우주의보가 해제된 이후에야 상시 근무로 전환, 호우 상황을 주시했다.
동행 파트너는 지난해 반지하 침수 피해의 교훈으로 만들어졌다. 서울시와 자치구는 '침수취약가구지원 서비스'를 운영하도록 돼있었지만 지난해 폭우 당시에는 작동하지 않았다. (본지 2022년 8월 10일자 1·2면 참조)
관악구에서 침수로 사망한 이들도 침수 피해 발생 시 돌봄을 담당할 공무원이 정해져 있는 상태였다.
올해부터 동행파트너는 시설과 제도의 빈틈을 메우는 역할을 맡고 있다. 집주인의 비협조로 반지하 물막이판 설치가 속도가 나지 않고 지상으로 이전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이들의 활약에 기댈 수 밖에 없다는 현실적 이유도 작용한다.
하지만 비가 올 때마다 공무원 수천명을 현장에 내보내는 일을 지속하기는 힘들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재해에 취약한 노령자나 장애인, 거동 불편자 등은 특별 관리하되 서둘러 방지시설을 구축하는 등 시스템으로 재해에 대응하는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풍수해 대책을 맡고 있는 자치구 한 관계자는 "수해 대책 중 지난해와 가장 다른 것이 동행파트너 제도"라며 "안부 전화를 돌리고 문제가 예상되는 집에 직접 찾아 가는 돌봄활동이 정착되면 인명 피해를 예방하는 데는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