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산불 2차 피해대책 잰걸음

2025-04-14 10:21:45 게재

산사태 응급복구 201곳 착수

수질오염방지 예산 긴급 지원

경북도가 산불피해조사가 오는 15일 완료될 예정인 가운데 산사태와 환경오염 등에 따른 초대형 산불피해지역의 2차 피해방지에 발빠르게 나서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도는 초대형 산불 피해 지역을 정밀하게 조사한 결과 ‘응급 복구와 연내 복구가 필요한 곳이 201개소, 항구복구가 필요한 지역은 97개소’라고 밝혔다. 지난 8일에는 조사결과를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입력했다.

항구복구는 산림 생태계 회복을 위한 조림 사업과 산사태 우려지역 위주로 사방사업을 시행한다. 도는 산불영향 구역이 4만5157ha에 달해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연차적으로 조림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사방댐, 산지사방 등 사방사업은 내년부터 지속적으로 시행한다.

도는 초대형 산불 피해 긴급 복구와 2차 피해방지를 위해 조만간 예정된 정부 추경에 위험목제거 430억원, 사방사업 82억원 등 총 국비 512억원을 중앙부처에 요청했다. 이와 함께 초대형산불에 따른 지방하천의 수질오염 최소화를 위해 우선 2.5km의 구간 오탁방지막 설치비 2억5000만원을 긴급 지원했다.

문화유산에 대한 긴급 안전점검도 본격화된다. 도는 오는 17일까지 5개 시군의 문화유산에 대해 긴급 안전 점검을 완료할 계획이다.

도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국가 지정 문화유산 11건, 경북도 지정 문화유산 20건으로 모두 31건의 피해가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안동시 15건, 의성군 6건, 청송군 9건, 영양군 1건으로 각각 파악됐다.

안전점검반은 도와 시·군 문화유산 전문가들과 함께 3개의 점검반을 구성해 피해 문화유산의 신속한 조사와 점검한다. 피해상황에 따라 외부인의 현장 접근 제한, 붕괴 위험이 큰 문화유산에는 구조물을 임시로 지지하거나 보강해 추가적인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구조보강 필요성 판단 등 안전진단 실시 필요성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또 화재 현장에 소실되지 않고 남아 있는 문화유산은 원형을 최대한 보존하고 소실되거나 손상된 문화유산은 남아 있는 원재료의 상태 등을 분석해 잔존가치를 평가해 수습 여부를 검토한다.

경북도는 조사결과를 근거로 경상북도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통해 문화유산 수습 및 복구 방향을 최종적으로 결정할 계획이다.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최세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