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반탄파 몰려올라” 국민참여 축소
1인1표 선거인단 대신
여론조사 50% 반영키로
당원·지지층 비중 높여
19일부터 4개권역 경선
더불어민주당이 6.3 조기 대선 경선방식으로 국민여론조사를 반영하는 ‘국민참여경선’으로 확정했다. 기존 국민선거인단 방식은 대통령 탄핵에 반대한 ‘반민주당’ 유권자의 조직적 참여가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권리당원(투표) 50%, 일반 국민 50%의 여론조사 방식에 김동연 김두관 후보 등이 반발하고 있지만 민주당은 19일부터 전국을 4개권역으로 나눠 경선을 진행할 방침이다.

14일 민주당은 중앙위원회를 열어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내용의 특별당규 제정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전날부터 특별당규안에 대한 찬반을 묻는 전 당원 투표도 현재 진행 중이다. 특별당규 제정안은 앞서 의원총회와 최고위원회의·당무위원회를 통과한 상태다. 민주당은 그간 대선 후보 본경선에서 당원 여부를 구별하지 않고 참여를 원하는 모든 유권자에게 1표를 주는 선거인단 방식의 ‘국민경선’을 실시해 왔다. 보다 당원뿐 아니라 소극적 지지자들에게 당 경선 문호를 개방해 본선경쟁력을 높이자는 취지에서다.
그러나 이번 경선에선 선거인단 대신 국민여론조사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권리당원은 경선일로부터 12개월 이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110만여명이 참여 대상이다. 일반 국민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로 추출한 표본 100만명을 여론조사 기관 2곳에 50만명씩 나눠 실시한 뒤 결과를 합산키로 했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는 민주당 당원주권 강화와 탄핵정국이라는 특별한 상황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이춘석 민주당특별당규준비위원장은 “2012년 완전 국민경선을 시행한 뒤 13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11만명이던 민주당 권리당원은 현재 123만명에 육박한다”면서 “나라의 대통령은 시민들이 선출하고 정당의 공직 후보는 당원들의 의사를 반영하는 것이 민주주의와 정당정치의 기본 전제”라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이어 “지난해 제1차 전국당원대회에서 당원 주권 시대를 열겠다고 천명했고 정당의 주인인 당원들의 후보 선출 권리를 강화하는 것이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또 “윤석열을 추종하는 극우세력은 윤석열 파면 결정 후에도 비정상적 선전·선동을 끝내지 않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에서는 50% 할당된 국민여론조사를 통해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수용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은 지난해 8월 전당대회 당 대표 선출에서 권리당원 비중을 54%까지 반영하는 안을 적용하며 ‘당원주권 강화’를 천명했다. 특히나 이번 대선 경선을 앞두고선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반민주당 유권자의 조직적 참여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다. 친이재명계 유튜버들과 의원들은 탄핵반대 세력이 선거인단에 참여해 조직적 활동을 벌일 경우 이를 막을 방법이 없다며 ‘역선택 방지조항’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들은 2022년 대선 경선 당시 압도적 우위를 보이던 이재명 후보가 서울권역의 국민선거인단 투표에서 당시 이낙연 후보에게 큰 표차로 뒤지는 결과가 나오면서 ‘역선택’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춘석 위원장은 “(새로운 경선)방법은 지금 출마 선언을 한 어느 후보도 동의하지 않은 안”이라며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시대적 소명 그리고 갑자기 대선이 열리게 되는 시간적 급박성 등을 고려했다”고 했다. 권리당원 비중과 지지층 여론이 다수 반영될 공산이 커 이재명 예비후보의 대세론이 더욱 굳어질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기존 당원과 민주당 지지층 중심의 국민여론조사가 중도·보수진영 여론 영향력을 줄일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 후보는 지난해 8월 당 대표 경선에서 권리당원 투표에서는 88.14%, 국민여론조사에서는 85.18%를 얻어 대표직 연임에 성공했었다.
민주당의 이같은 경선룰 결정에 김동연 지사 측은 “탄핵의 광장에서 형성된 응원봉 연대의 힘을 국민선거인단 경선으로 모아 정권교체를 이루자는 국민과 민주진영의 염원을 외면한 것”이라고 했다. 김두관 전 지사 측은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 숙고에 숙고를 하겠다”고 했다. 김경수 경남지사도 세종시청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이번 경선 과정에서 좀 더 많은 민주당의 당원들이 경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을 고려해 줬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당에 전달했다”고 했다. 그러나 이같은 반발에도 불구, 민주당은 개정된 특별당규를 적용한 경선을 실시할 방침이다. 19일부터 2주간 주말 이틀을 이용해 4개 권역 순회 경선을 실시한다. 오는 2~3일쯤 최종 후보가 선출될 전망이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