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 눈
MBK의 진정성 있는 수습을 촉구한다
“홈플러스 기업회생을 준비하면서 전단채 등을 발행했을 가능성이 높아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가 매우 의심됩니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사법처리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수수사 경험이 풍부한 검사장 출신 변호사의 말이다.
금융감독원이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의 사기적 부정거래 의혹을 조사하고 있는 가운데 조만간 특수수사 부서인 서울중앙지검 반부패부가 본격적인 수사에 나설 예정이어서 사법처리 전망은 현실화 가능성이 커 보인다.
수천억원의 피해가 예상되는 투자자들, 납품대금을 받지 못한 소상공인, 직장을 잃을 지도 모르는 홈플러스 직원과 협력업체 직원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지만 MBK파트너스의 대처는 수습이 아니라 사태를 더 악화시켜왔다. 구체성이 없는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의 사재출연 약속, 이후 사태 수습에 터무니없이 적은 1000억원대 지원, 그마저도 600억원은 대출에 대한 지급보증이다. 홈플러스는 사모펀드로부터 600억원의 대출을 받으면서 10%의 이자를 내야 한다.
김 회장은 최근 기관투자자(LP)들에게 보낸 영문 서한에서 기업회생절차 신청으로 촉발된 홈플러스 사태를 ‘약간의 잡음’이라고 주장했다. 말하자면 ‘홈플러스의 회생 절차는 언론에서 다소 논란을 일으켰다’는 것이어서 사태의 심각성과는 거리가 멀다.
김 회장은 회생절차 하에서도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의 운영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분가치의 일부라도 회수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회생을 통해 최대한 MBK의 지분가치를 회수하겠다는 목적으로, 사회적 책임은 방기한 채 여전히 MBK의 이익만을 최우선으로 두고 있는 태도다. ‘손실을 사회화하고 이익을 사유화하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운 이유다.
2011년 LIG건설 사건과 2013년 동양그룹 사건에서 두 기업 모두 부도 위험을 숨긴 채 기업어음(CP)과 회사채를 발행해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경영진들은 모두 사기죄로 중형을 선고받았다. 안타까운 일은 피해 보상을 선제적으로 하기 보다는 법원선고를 앞두고 서둘러 진행했다는 점이다. ‘중형을 피하기 위한 꼼수’라는 비판이 뒤따랐다.
MBK파트너스의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피해구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의 경영 상태를 고려하면 김 회장의 사재출연 이외에 다른 방법은 사실상 없어 보인다. 구자원 LIG그룹 회장도 피해보상을 위해 LIG 손보 경영권을 매각했다.
홈플러스 관련 사기적 부정거래 의혹이 실제 사법처리로 이어질지 아직 단정하기 어렵다. 그 전에 MBK파트너스가 진정성 있는 사태 수습에 나서길 촉구한다.
이경기 재정금융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