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능 11월 13일 시행, 학교수업·EBS 병행하면 풀 수 있게
2026학년도 수능기본계획 발표
변별력 유지하며 킬러문항 배제
올해 11월 13일 치러지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공교육 범위 내에서 학교 교육을 충분히 받고 EBS 연계 교재와 강의로 보완하면 풀 수 있는 난이도로 출제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5일 이런 내용의 ‘2026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수능 문제와 EBS 연계율은 예년처럼 50% 수준을 유지하고 EBS 교재에 있는 그림과 도표, 지문 등의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연계 체감도’를 높일 방침이다.

올해 수능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사회·과학·직업),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나뉘어 시행된다. 2022학년도 수능부터 도입된 문·이과 통합형 체제도 그대로 유지된다.
국어·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가 적용된다. 수험생들은 국어영역에서 공통과목인 독서, 문학 외에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골라 응시해야 한다. 수학 영역에서는 공통과목인 수학 Ⅰ·Ⅱ와 함께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하나를 선택한다.
한국사 영역은 올해도 필수로 지정돼 모든 수험생은 반드시 응시해야 한다. 미응시자는 ‘무효 처리’돼 수능 성적통지표를 제공받지 못한다.
사회·과학탐구영역은 사회·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가운데 최대 2개를, 직업탐구 영역은 6개 과목 중 최대 2개를 선택할 수 있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9개 과목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다.
성적통지표에는 수험생이 응시한 영역·선택과목별로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기재된다. 영어와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에 따른 등급만 표시된다.
오승걸 평가원장은 “직접연계 시 학생들의 공부하는 방식이 너무 거기에 집중될 수 있는 여러 문제가 있어서 간접연계 방식으로 50% 이상을 반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을 배제하겠다”며 “공교육 범위 내에서 적정 변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출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N수생 유입이 늘면서 수능 난도가 올라갈 가능성에 대해선 “단순히 N수생이 증가한다고 난도를 높이면 학교 교육을 통해서 수능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종합적으로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김기수 기자 ks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