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디젤차량 대체 기대…전기 중형 승합차 ‘CV1’
엠티알 “맞춤형 목적 차량”
구급차 등 다방면으로 활용
“고객 니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한 친환경 전기 승합차 보급에 속도를 내도록 하겠습니다. 유연성 편의성 안전성을 모두 함께 가져갈 수 있는 친환경 모빌리티 혁신을 선도하겠습니다.”
4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만난 천성재 MTR(엠티알) 대표는 이렇게 포부를 밝혔다. MTR은 현대자동차와 공동 개발한 11인승 전기 중형 승합차 ‘CV1’을 4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했다. 현대차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ST1(Service Type #1)’을 기반으로 제작된 이 차량은 수요응답형 교통용 ‘CV1 셔틀’과 17인승 어린이 통학용 ‘CV1 킨더’ 두 가지 모델로 선보였다.

MTR은 “CV1은 대한민국 최초로 ‘맞춤형 목적 차량(PBV)’ 개념을 적용한 중형 전기 승합차”라며 “차량의 기본 골격(샤시캡)에 다양한 몸체(바디)를 결합해 용도에 맞게 조립하는 방식이 특징”이라고 소개했다. △자율주행차 구급차 △교통약자 셔틀 △경찰 작전차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CV1 셔틀은 교통 소외지역을 위한 수요응답형 교통(DRT) 시장을 겨냥해 제작됐다. MTR은 “국내 DRT 시장은 주로 디젤 기반 9~15인승 차량을 사용 중”이라며“ 전기 기반의 11인승 CV1 셔틀은 친환경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대체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CV1 킨더는 17인승 전기 어린이 통학버스로 고강도 차체와 전용 충격 흡수 장치를 적용해 안전성을 높였다. 저상형 설계와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 등 승하차 편의 기능을 갖췄다.
MTR은 “CV1 킨더는 2024년 6월 차량 콘셉트 확정 이후 약 12개월 만에 개발을 완료했다”며 “모듈화 기반의 최적화 개발 방식을 통해 일반 차량보다 개발 기간을 단축했으며 파생 모델은 6개월 내 개발도 가능하다”고 소개했다. 국토교통부의 전후방 충돌시험을 포함한 16가지 안전 인증 시험을 받는 중이다. MTR은 “환경부 보급평가와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효율 인증도 준비 중”이라며 “연간 1000대 생산을 목표로 하며, 정부 보조금 적용 시 실구매가는 9000만원대가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2027년부터 신규 스쿨버스를 100% 무공해차로 의무화했다. 캐나다 퀘벡주는 2030년까지 전기 스쿨버스로의 전환을 목표로 설정했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경우 통학버스 대부분이 노후 경유차다. MTR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과 협력해 CV1을 기반으로 한 전기 통학버스 시범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고양=글·사진 김아영 기자 ay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