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9
2024
대한민국은 3000개가 넘는 섬을 가진 세계 10대 섬 보유국. 그 중 64%인 2165개가 전라남도에 있다. 전남을 ‘섬의 나라’라고 부르는 이유다. 최근 섬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다. 소중한 해저 자원과 생태의 보고이면서, 우리 영해의 시작이 되는 섬은 안보 수호의 첨병이기도 하다. 하지만 전남도의 입장에서는 소중한 휴식과 힐링의 공간이라는 관광적 가치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 지역 관광의 차별화된 콘텐츠이면서 지역경제의 든든한 뒷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남도와 함께 독특한 겨울 이야기를 가진 섬 세 곳과 섬 관광 이야기를 4회 연재한다. “2019년에 전남도에서 섬티아고 순례길을 만들었는데 5년 동안 7번 오신 분도 있어요. 처음엔 혼자, 다음엔 친구들과, 부인과 … 7번째 오셨을 땐 너무 고마워서 1만5000
11.28
최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의 발언이 화제가 됐다. 그는 한 인터뷰에서 “한국의 인구가 현재의 1/3로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발언은 얼마나 신빙성이 있을까. 통계청에 따르면 2072년 우리나라 인구는 3622만명(중위추계)으로 2022년 5167만명을 기준으로 하면 30%가 줄어든다. 일론 머스크가 말한 것과는 차이를 보이지만 시기를 특정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영 틀린 말은 아니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마카오와 홍콩을 제외하면 전세계에서 가장 낮다. 2020년에는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넘는 인구 데드크로스도 발생했다. 국가소멸을 걱정할 수준이니 지방의 인구감소는 말할 것도 없다. 인구감소 대응하고 생활유형 변화 반영하기 위해 도입 지방소멸은 낮은 출생률과 지방청년들의 수도권 유입이 원인이다. 사람들을 강제적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지방에서 인구를 늘리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지역을 떠나는 청년들을 막을 수
10.29
올해로 2년차에 들어선 고향사랑기부제 때문에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고향사랑기부제의 상반기 모금 실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7% 줄어든 199억8000만원에 그쳤다. 국정감사에서 이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자 행안부가 다시 자료를 공개했다. 10월 23일까지 집계한 기부금 총액은 332억원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323억원과 비교해 9억원가량 더 많았다는 것이다. 고향사랑기부제는 세액공제 혜택으로 연말에 기부가 집중되는 만큼 하반기에 실적이 오르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추가자료 공개에도 고향사랑기부제가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어렵게 됐다. 중앙정부의 지나친 통제로 고향사랑기부제 성장 더뎌 전문가들은 고향사랑기부제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원인으로 중앙정부의 지나친 통제를 지적한다. 그간 행안부는 정부플랫폼인 ‘고향사랑e음’을 통해서만 기부가 가능하도록 했다. 민간플랫폼을 통하면 기부한도액과 주소지 기부금지
09.26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구·경북 행정통합 무산을 선언한 지 벌써 한달이 흘렀다. 행정안전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논의를 재개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지만 대구시의 무반응으로 별다른 소득은 없는 상태다. 그러는 사이 대구·경북 행정통합 실패의 여진은 전국으로 퍼지고 있다. 부산·경남과 대전·충남 등은 행정통합에 대해 신중한 입장으로 선회하거나 엉거주춤한 상태가 됐다.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출발점으로 삼고자 했던 윤석열정부의 기대도 산산조각이 난 상황이다. 현재 대구시는 경북도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던 현안들까지 독자 추진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 지금 상태가 지속된다면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파국으로 끝날 가능성이 커졌다. ‘단체장 중심의 폐쇄적 논의구조’가 만든 필연적 결과물 이번에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무산되면 두번째가 된다. 지난 2022년 7월 홍준표 대구시장이 취임하면서 통합에 반대해 무산된 것이 첫번째다. 두번째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올해 5월 홍 시장이 “중국 스촨성
08.29
지역소멸이 가시화되면서 지역발전정책의 대전환을 촉구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지자체들이 추진하는 행정통합이나 메가시티 추진 움직임이 그렇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초광역권’ 제안도 그런 흐름의 하나다. 이는 중앙정부 주도형 나눠먹기식 균형개발은 사실상 실패했다는 평가에 기초한다. 거점개발과 균형개발 사이에서 제3의 길을 모색하자는 논의가 나오는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다. 다만 지역에 실질적 권한을 주는 지역주도형 개발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전제조건이다. 균형개발 내걸었지만 수도권과 지역간 격차 더 심화 과거 우리나라의 지역개발은 거점개발로 시작됐다. 지역개발의 개념조차 생소했던 1960년대를 지나 1970년대부터 시작된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은 거점개발방식이 적용됐다. 거점개발은 자원이 한정된 상황에서 성장거점지역을 선정해 집중 개발함과 동시에 개발효과가 주변지역으로 파급되기를 기대하는 방식이다. 당시 정부는 수출주도형 공업국가로 발전하기 위해서 경부 축을 중심으로
07.30
정부가 지자체에 내려 보내는 교부세는 세가지 종류가 있다. 교부세는 정부가 지역 간 수입 차이를 줄이고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 지자체에 내려주는 예산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줄이는 역할을 하니 균형재원이라고 부른다. 교부세 가운데 가장 액수가 큰 것은 내국세의 19.24%를 떼어 지자체에 내려 보내는 보통교부세다. 특별교부세도 있지만 이는 보통교부세를 보완하는 성격으로 재난 및 안전관리 수요가 발생했을 때만 지자체에 주는 돈이라 규모가 크지 않다. 다음이 부동산교부세다. 부동산교부세는 2005년 부동산 세제개편으로 지방세 수입이 감소한 부분을 보전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도입됐다. 국세인 종합부동산세 수입 전체를 중앙정부가 걷어 지자체의 재정 부족분을 채워준다. 이밖에 소방안전교부세는 주요 화재원인인 담배에 부과하는 개별소비세액의 45%를 중앙정부가 광역자치단체에 내려주는 재원이지만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교부세는 아니다. 윤석열정부 감세정책 직격탄 맞은 지자체
06.28
최근 몇년간 장마철마다 재난으로 전국이 쑥대밭이 됐다. 민선 8기 단체장들이 취임 전날인 2022년 6월 30일 쏟아진 폭우로 현장에서 임기를 시작한 것을 보면 그 심각성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2022년과 2023년은 수해가 심각했다. 이 기간 동안 서울 관악구 반지하 주택에서 인명사고가 발생했다. 태풍 힌남노로 인한 폭우로 경북 포항시 아파트 지하주자창에서 주민 9명이 숨졌다. 경북 북부 산사태 참사와 충북 오송 지하차도 참사도 일어났다.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 사이에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인한 사망·실종자가 150명에 달한다고 한다. 장마철이 두렵게 느껴질 정도다. 기후재난 반복되는데도 정부·지자체 대책은 거북이걸음 집중호우로 인한 재난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기후변화다. 최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한 논문에 따르면 기온이 1℃ 오를 때마다 북반구 강수량이 15% 증가한다. 그런데 우리나라가 위치해 있는 동
05.30
한때 메가시티 바람이 세게 불었다. 2019년쯤 지역소멸 위기감이 확 올라올 때다. 전국의 광역지자체들이 모두 메가시티(광역연합) 또는 행정구역 통합을 하겠다고 나섰다. 하지만 얼마 안가 잠잠해졌다. 부산·울산·경남은 단체장들이 바뀌면서 없던 일이 됐고, 대구·경북과 광주·전남의 행정구역 통합은 단체장들의 반목 때문에 좌초됐다. 지금은 충청권 메가시티만 숨이 붙어있지만 ‘수도권 확장’이라는 이유로 영향력은 제한적이다. 올해 총선국면에서도 메가시티 논란이 수도권 판을 달궜다. 다만 이전의 논의와 다른 점은 수도권 메가시티라는 점이다. 이 또한 총선이 끝나자 사그라졌다. 이번에는 대구·경북 행정구역 통합이 이슈로 등장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의 제안에 윤석열 대통령과 이철우 경북지사가 화답하면서 불이 붙은 상황이다. 충청권 메가시티도 여기에 가세해 비수도권 메가시티 논의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메가시티보다 더 어려운 행정구역 통합 비수도권 메가시티 또는 행정구역 통합 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