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민 3000여명 체육관 등에서 생활
산불 피해 복구에 총력전
임시주택 설치 1~2개월 걸려
경북 북동부지역 5개 시·군에서 발생한 산불은 지난달 28일 꺼졌으나 피해지역 주민들은 일상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 80대 전후의 고령인 이재민들은 이미 길게는 10여일째 체육관 등에서 생활하고 있어 얼마나 버틸지 걱정스러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2일 경북도와 재난당국에 따르면 2일 기준으로 5개 시·군의 주택 3986채가 불타면서 대규모 이재민이 발생했다. 일단 재난당국은 주민들이 가장 애로사항으로 꼽고 있는 전기, 통신, 상수도 등의 정상복구에 총력을 쏟고 있다. 상수도는 2일 오전 9시 현재 100% 복구됐다. 5개 시·군의 배수지 정수장, 가압장 등 43개(안동22, 의성4, 청송9, 영양3, 영덕5) 전 시설이 정상화됐다.
전기도 98% 수준으로 회복됐으며, 통신도 6개 시·군 34개 지역의 경우 무선은 96.6%, 유선은 96.2%, 유료방송은 89.6%까지 각각 정상 회복했다.
문제는 주택과 이재민 대책이다. 피해조사가 진행되면서 지난달 29일까지는 3285채가 전소 등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파악됐으나 1일 18시 기준 3986채로 증가했다. 이 가운데 3914채가 전소돼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다. 지역별로는 영덕이 1519채로 가장 많았고 안동도 1230채로 상당수를 차지했다. 이밖에 청송 770채 의성 357채, 영양 107채 등이다.
2일 오전 9시 현재 3275명의 이재민이 돌아갈 곳이 없어 체육관 등의 대피시설에 있다. 경북도는 이에 따라 이재민들을 위한 컨테이너 하우스 등 임시 주거시설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수요는 많은데 물량확보와 설치장소 및 기반시설 공사 등에 짧게는 15일 전후, 길게는 2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보인다.
도 조사결과 임시주거시설은 모두 2740채가 필요하다.
하지만 경북도가 자체 보유 물량은 26동 뿐이다. 우선 2일까지 영덕과 의성에 11동을 설치했고, 3일까지 안동 영양 영덕 등 3개소에 15동을 설치할 예정이다.
도는 또 모듈러주택 20동을 안동에 설치했으며 기반시설이 갖춰지면 4월 중순까지 80동을 설치할 예정이다. 도는 이와 별도로 LH 공공임대주택 20개 단지 610호를 확보하고 기반공사와 임시주택 생산 주문을 병행 추진해 2600여동의 임시주거시설을 확보할 방침이다.
도는 각종 산불피해 조사에도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5개 시군 자체 인력 704명에 다른 시·군 직원 135명, 산림조사단 191명을 지원받는 등 1030명의 피해조사 인력을 확보했다. 이 외에 농업과 건축 산림 등의 전문분야 피해조사에 필요한 400여명을 추가 지원받을 예정이다.
의성군 관계자는 “농기계나 농작물 등의 피해조사는 까다롭고 애매한 부분이 많은데다 농장주 등이 대피 중인 곳도 많고 면단위 공무원 인력부족 등으로 제때 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는 행정안전부와 함께 안동체육관에 ‘중앙합동지원센터’를 꾸려 운영 중이다. 중앙합동지원센터는 산불 피해를 입은 지역의 이재민 구호, 시설 및 주거복구, 영농 피해 상담, 융자·보험 안내 등에 대한 종합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