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28
2024
대입에서 연세대와 한양대가 학생부교과전형에 최저 기준을 새로 설정했다. 최상위권이 밀집해 수능의 영향력이 큰 의대 입시는 정원이 크게 확대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수능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시는 물론 수시를 목표로 하는 학생들도 수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문제는 재학생 입장에서 내신과 수능을 함께 대비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1월까지 정무실장을 맡았고 2022년 7월부터 경제부지사로 재임 중이다. 그는 경제부지사를 맡아 국회와 중앙부처를 오가며 올해 역대 최대규모의 국비예산(8조1586억원)을 확보했으며 포스텍 연구 중심 의대 설립, 경북 배터리 글로벌 혁신 특구 지정 등 지역 현안 사업 해결을 위해 앞장섰다. 특히 여성 특유의 섬세한 지도력을 발휘해 경제 분야 정부 공모 사업
02.27
더불어민주당이 정권심판론을 앞세워 총선 전에 입법 강행에 나설 태세다. 대표적인 민생현안인 전세사기 피해구제와 관련해 ‘선지원’ 방침을 담은 전세사기 특별법과 함께 의대증원 문제의 핵심인 지역 필수의료 확충과 연결된 지역의사제법을 본회의에 직회부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신속처리 안건(패스트트랙)에 올라가 있는 채 상병 특검법도 총선 직전에
‘의대 증원’을 둘러싼 정부와 대학 간 신경전이 더 커지고 있다. 의과대학에서는 수요조사 기한을 늦추고 사회적 합의를 먼저 도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교육부는 기존에 추진하던 정책을 축소·연기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다. 전국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장 등으로 구성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26일 보도자료를 내 교육부와
전공의들의 근무지 이탈과 진료거부가 일주일을 넘어서고 있는 가운데 병원을 지키고 있는 간호사 등 병원 노조들은 의대증원은 시대과제이며 진료 정상화를 위해 전공의 복귀와 정부와 대화를 촉구했다. 26일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와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은 전공의의 현장 복귀와 대화를 촉구하는 입장을 냈다. 보건의료노조는 전공의들의 집단진료거부 사태가 장기화
02.26
채우고 있지만 일부 병원에서 전임의들마저 이탈할 움직임을 보이고 의대 졸업생들마저 인턴 임용을 포기해 의료혼란이 악화될 조짐이다. 서울 빅5병원은 이날 수술을 40~50% 줄였다. 빅5병원 관계자는 “전공의 과정을 마친 신규 전임의들이 3월 1일자로 신규 임용을 앞두고 있는데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며 “28~29일쯤에 윤곽이 드러날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배정 작업에 착수했다. 전공의·의대생 반발에도 증원 규모를 감축할 의사가 없음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사실상 ‘정책 굳히기’ 수순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정부는 비수도권 의대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배정하되 각 대학의 제출 수요와 교육 역량, 소규모 의과대학 교육 역량 강화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증원된
대통령실은 25일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의대 증원을 두고 의사들이 환자 목숨을 볼모로 집단 사직서를 내거나 의대생들이 집단 휴학계를 내는 등 극단적 행동을 하는 경우는 없었다”고 지적했다. 대통령실 김수경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열고 전공의 사직과 의대생 휴학 사태의 책임이 정부에 있고 세계에 유례가 없다는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의 주장에 이같이
, 소아아동의 진료에 문제가 생기면 안된다며 전공의들이 병원으로 복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11개 소비자단체들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성명을 통해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 발표 이후 의료계는 의료소비자인 환자를 외면한 채 전공의, 전임의의 집단사직, 의과대학 학생들의 동맹휴학 결의 등 강경대응으로 일관하고 있고 의료현장은 혼란을 넘어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를 최상위단계인
강조되지만 늘 그때뿐”이라며 “지역 의대의 낙후된 강의실과 실습장비를 확충하는 등 세심한 설계에 기반한 공공의료 확충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공공의대 설립 논의에도 속도를 내야한다”고 말했다. 이제형 기자 brother@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