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22
2024
대상인지에 대해 적용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본다”면서도 “사안이 큰만큼 본부에서 살펴볼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앞서 정부가 현행 3058명인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린 5058명으로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으로 반발하고 나섰다.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지난 19일 오후 11시 기준 전체 전공의의 95%가 근무하는
02.21
의대증원에 대한 정부와 의사단체간 인식차가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전공의 등의 집단행동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전공의들은 이틀째 근무지를 이탈하고 전날 의대정원 확대를 백지화할 것을 요구하는 등 정부의 강경 방침에 맞섰다. 21일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20일 22시 기준 주요 100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행안부는 지자체 비상진료체계와 지역 의료현장의 대응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17개 시·도에 과장급 지역책임관을 긴급 파견했다. 상황이 더 악화되면 지역책임관을 국장급으로 격상해 피해가 커질 우려가 있는 지역을 집중 관리할 예정이다. 이 장관은 전공의·전문의들의 빠른 복귀를 요청하기도 했다. 그는 “의대 정원 확대를 포함한
정부의 의대증원을 반대한 일부 전공의들이 이틀째 병원을 무단 이탈했다. 의사단체 집단행동 사태가 장기화될 것에 대비해 대학병원 진료를 중증 위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21일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2월 20일 22시 기준주요 100개 수련병원 점검 결과, 소속 전공의의 약 71.2%가 사직서를 제출했으나 수리되지 않았다. 근무지
정부의 증원 정책에 반발하는 전국 의과대학 학생들이 집단으로 휴학계를 제출하고 수업에 불참해 일부 대학들이 휴강에 들어갔다. 이런 가운데 전국 40개 의대 교수들이 학생들의 움직임을 사실상 지지하고 나서 동맹휴학, 수업거부 등 집단행동에 힘이 실리고 있다. 교육부가 40개 대학을 대상으로 파악한 결과, 20일까지 8753명의 의대생이 휴학을 신청했다
초미의 관심사였던 의대 증원 규모가 확정됐다. 올해 치를 2025학년 대입부터 2000명이 늘어난다. 종전 3058명의 65.4%가 한번에 증가한다. 이에 따라 대입 역시 판도가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수험생들의 의대 쏠림 현상이 가속할 수 있고 최상위권 학생의 선호도가 높은 의대의 특성상 치대 한의대 수의대 약대 공대 등 자연계열은 연쇄적으로 파장이
02.20
국무회의서 의대증원 필요성 작심강조 “2천명 증원 과도하다며 허황된 음모론”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일부 의사들이 집단행동에 나선 데 대해 “의료 현장의 주역인 전공의와 미래 의료의 주역인 의대생들이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볼모로 집단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TV로 생중계된
대통령은 19일 “의료는 국민 생명과 건강의 관점에서 국방이나 치안과 다름없이 위중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의료계 일각에서 ‘정부는 의사를 이길 수 없다’는 말이 회자하는 데 대해 “의료계는 국민을 이길 수 없다”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20일 오후 의대정원 확대의 필요성과 의사 집단행동에 대한 입장을 밝힐 전망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20일
최근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등 정책에 반발한 전공의들과 의대생들의 집단행동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법무부와 검찰, 경찰이 “엄정 대응” 방침을 밝혀 주목된다. 특히 의사들이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으면 의사 면허가 취소될 수 있도록 한 개정 의료법 시행을 앞두고 있어서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다. 법무부와 검찰은 19일 의료계 집단행동에 대해 강력히
필요한 인력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전공의들은 2020년 코로나19 유행이라는 사회재난 상황에서도 당시 정부의 의대증원에 반대해 8월 7일 총파업을 벌였다. 같은 달 14일 의사협회 총파업에도 참여했다. 이후 21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들어갔다. 당시 수술이나 진료 연기로 환자 피해가 심했다. 전공의 업무중단과 의사단체의 집단행동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