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센터 밀집 대전시, 대책마련에 비상
직원 2만여명 근무
"지자체 권한 한계"
대표적인 콜센터 밀집지역인 대전시가 구로콜센터 대규모 감염에 비상이 걸렸다.
대전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대전에 위치한 콜센터는 137개로 근무하는 직원만 1만7725명에 달한다. 보험 콜센터가 43개(5400명)로 가장 많고 정보통신(24개 3179명) 유통(27개 2066명) 공공(17개 1232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대부분이 대전의 중심가인 서구 둔산동 등에 몰려 있다. 구로콜센터 대규모 감염에서 보듯 사실상 '코로나 화약고'를 안고 사는 셈이다.
대전시는 국토의 중앙에 위치해 있고 영호남에 비해 사투리가 강하지 않는데다 부동산 가격 등이 수도권에 비해 싸 콜센터 최적지로 각광을 받아왔다. 젊은 여성층이 밀집해 있고 쉽게 화를 내지 않는 지역민 특성도 한몫했다. 이 때문에 대전시는 그동안 여성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해 콜센터 유치와 교육 등을 적극적으로 벌여왔다.
대전시 등에 따르면 코로나 확산 이후 대규모 콜센터의 대응은 일단 긍정적이다.
직원이 1900명인 K은행 콜센터의 경우 독립건물로 출입구를 단일하게 운영하고 있으며 상시적으로 발열체크를 하고 있다. 외부인을 철저하게 통제하며 매주 토요일엔 건물 전체를 소독하고 있다. 해외를 다녀오거나 확진자 접촉 가능성에도 자가격리를 실시하고 있다. 비상상황에 대비, 중구 유천동과 서구 가장동에 임시 콜센터도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와 달리 소규모 콜센터의 처지는 다르다. 300명 규모 S카드의 경우 둔산동 건물에 타 업체들과 함께 입주해있다. 내부적으로 관리와 방역을 실시해도 외부 동선을 모두 관리할 수 없다. 해당 업체만의 노력으로 감염을 방어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사정이 이렇지만 대전시 등 지자체의 대책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당장 마스크나 손소독제 등 방역물품 지원이나 사무실 실내방역 지원 정도다.
대전시 관계자는 "감염을 우려하고 있지만 지자체가 콜센터 방역에 본격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권한에 한계가 있다"며 "서울시 등 다른 지지체 사례를 참고해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