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불안 자가격리자, 서울에만 2만명

2020-04-09 13:02:50 게재

확진자수 줄었지만 해외발 격리 급증

현황, 중증도별 환자상황 공개 필요

코로나19 확진자가 사흘째 하루 50명 내외로 유지되고 있지만 자가격리자 증가, 젊은층의 거리두기 무시 등 수도권의 불안 요인은 오히려 커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줄어드는 확진자보다 늘어나는 격리자, 중증도별 환자수에 집중해 방역 고삐를 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코로나19 둔화세를 지속하려면 자가격리자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곳곳에서 나온다. 격리 이탈자 뿐 아니라 자가격리 중 가족 전파 사례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자가격리자 유형은 크게 두개로 나뉜다. 의심환자 혹은 환자와 접촉한 사람, 그리고 해외 입국자다. 검사 후 대기 중인 사람도 넓은 의미에선 자가격리자로 분류한다.


신속한 방역정책과 국민 협조 덕분에 확진자 수가 줄었지만 자가격리자는 늘고 있다. 문제는 이들 중 감염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7일까지 서울의 자가격리자만 2만여명에 달한다. 접촉자 4849명, 해외입국자 1만4512명이다.

자가격리자 급증은 확진자 폭발로 이어진다. 대구의 경우 2000여명이 확진을 받고도 치료 시설이 부족해 집에 머물렀다. 잠재적 환자 및 가족간 전염의 뇌관이 되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격리해제자도 주의대상이라고 말한다. 잠복기인 2주간 격리에서 풀렸을 뿐 감염에서 자유로운게 아니기 때문이다. 음성 판정 후 양성 전환 사례도 늘고 있다.

전신 방호복을 입은 인천국제공항 출입국 외국인청 입국심사관이 8일 오후 유증상자 전용 입국심사대에서 입국심사 후 자가격리 지침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서울시를 기준으로 자가격리 후 해제된 사람은 4월 7일 하루 260명, 누적 8337명이다. 해외입국자 중 해제된 이들도 7일 하루 388명에 이른다. 특히 해외입국자 중 격리해제자가 불안을 더한다. 증상이 잠복기 이후에 나타나거나 확진으로 연결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전국의 자가격리자 현황도 만만치 않다. 질본에 따르면 7일까지 전국 자가격리자는 4만6566명이며 이 중 3만8424명이 해외 입국자다. 확진판정 후 격리 이탈자로 인한 피해는 막대하다. 제주도 여행 모녀처럼 수억원 재산피해와 수백명 격리자를 발생시킨다. 동선과 발생시점에 따라 방역 당국의 관리 부담을 크게 증가시키기도 한다. 뮤지컬 배우 확진 사례가 대표적이다. 무대와 객석 사이 공간이 충분했다고 하지만 지난달 14일부터 해당 배우들이 출연한 21회의 공연을 본 관객 8578명이 모니터링 대상에 올랐다.

정부도 강도높은 관리에 나섰다. 8일 자가격리를 위반한 인도네시아인이 처음으로 강제추방됐다. 법무부장관의 활동범위 제한명령과 방역당국의 자가격리 조치 위반 사유다. 자가격리 장소를 이탈했다 8일 오전 적발된 베트남 부부도 강제 추방 여부가 검토 중이다. 급기야 입국 금지에 나섰다. 우리 국민 입국을 금지한 나라는 비자 면제와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방역당국이 강조하는 '숫자'를 바꿔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섣부른 희망보다 정확한 상황 인식이 우선이라는 주장이다. 김우주 고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금 확진자 수보다 중요한 것은 자가격리자 숫자와 중증도에 따른 환자들 분류 및 치료현황"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특히 중증도별 환자 현황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자의 위중도에 따라 4단계로 분류한 환자 수와 이들에 대한 치료 및 관리 현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해야 국민들 사이에 '방심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경증 환자를 치료하는 전국 생활치료센터 14곳에는 752명이 입소해 있다(6일 기준). 대구가 495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서울(105명), 경북(88명), 경기(64명) 순이다. 서울시 중증(중등증·위중 포함) 입원 환자는 7일까지 387명이다.

["'코로나19(COVID-19)' 비상" 연재기사]

이제형 기자 brother@naeil.com
이제형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