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역' 세계표준화 로드맵 확정
검사확진·역학추적·격리치료(3T) 체계화 … 정부, 2022년 상반기까지 18종 제안
정부가 국내 코로나19 발생이 이후 방역당국과 의료계 등에서 보여준 신속하고 정확한 방역사례를 세계표준화로 삼기 위한 로드맵을 확정했다.
정부는 11일 오전 8시 열린 제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K-방역모델'을 세계의 표준으로 만들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로드맵을 확정했다"며 그 안을 발표했다.
이 로드맵은 '검사·확진→역학·추적→격리·치료'로 이어지는 3T(Test-Trace-Treat)를 'K-방역모델'로 체계화한 18종의 국제표준을 ISO 등 국제표준화기구에 제안하기 위한 길잡이로 활용된다.
이번 로드맵에는 자동차 이동형(Drive Thru) 선별진료소 운영 절차 등 국제표준안 18종 외에 K-방역 관련 R&D 과정에서 얻어지는 임상데이터, 표준물질에 대한 표준화 계획도 추가로 포함됐다.
18종에는 △감염병 진단기법인 유전자 증폭기반 진단기법(RT-PCR)과 진단기법 관련 시약장비 및 테스트 방법 2종 △자동차 이동형과 도보 이동형 선별진료소 운영 절차 등 4종 △역학 추적조사 관련 모바일 자가진단·격리관리 앱(App) 요구사항, 역학조사 지원시스템 기능 및 개인정보 보호, 자가진단·문진 결과와 전자의무기록(EMR) 연동 방법 등 4종 △격리치료 관련 감염병 생활치료센터 운영 표준모형, 개인위생 관리 및 사회적 거리두기 운영 지침, 취약계층 필수 사회복지서비스 및 의료지원, 감염병 교차감염 차단을 위한 지침 등 8종 등이다.
'K-방역 3T 국제표준화'는 각 과정별로 즉시 표준화가 가능한 분야부터 우선 제안하고, 표준안 개발에 연구가 필요한 분야는 올해 말까지 8종을 신규작업표준안을 제안하고 2021년말까지 7종, 2022년 상반기까지 3종을 순차적으로 제안한다.
국제표준화 18종은 3T 단계별로 체계화해 추진된다.
검사·확진(Test) 단계는 감염병을 정확히 진단하고, 확진자를 선별하기 위한 진단시약·장비, 검사기법, 선별진료소 운영시스템 등 6종의 국제표준을 제안할 예정이다.
역학·추적(Trace) 단계는 자가 격리자 등을 효과적으로 추적·관리하기 위한 모바일 앱, 전자의무기록(EMR), 역학조사 지원시스템 등 4종을 제안한다.
격리·치료(Treat) 단계는 확진자 등을 격리하고 치료하기 위한 생활치료센터 운영,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체외 진단기기의 긴급사용 승인 절차 등 8종을 제안한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서 제3차 추경(정부안 1,719억원) 등으로 추진할 계획인 감염병 방역 관련 R&D 결과물(임상데이터 표준물질 시험방법 등)을 표준화해 국내 바이오산업의 혁신 역량을 강화한다.
11일 오전 확정 발표된 로드맵은 지난 5월 구성된 민관 합동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 정책협의회'에서 2회(제1차 5월 8일, 제2차 6월 8일)에 걸친 논의를 통해 확정됐다.
로드맵 수립 과정에서, 외교부가 중심이 되어 범부처가 참여하는 '코로나19 대응 국제 방역협력 총괄 TF'와도 긴밀히 협력했으며, TF를 통해 중소기업벤처부, 소방청 등이 제안한 음압 병실, 감염병 환자이송 지침 등도 국제표준으로 제안할 계획이다. 정부는 "과거 국제사회가 치명적인 감염병 발병시에도 내놓지 못한 표준화된 방역모델을 한국주도로 국제표준화 하는 것이기에 그 의미가 남다르다"며 "K-방역모델의 국제표준화를 통해 우리나라의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고, 나아가 새로운 국제질서를 주도하는 도약의 발판으로 삼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