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구치소 악몽, 확진자 천명 넘길 듯
최초 확진 후 16일 허비 … 시설특성 놓쳐
초기, 전수검사 아닌 접촉자 중심 검사 ‘패착’
수용자 1/3 확진, 수백명 추가 확진 가능성
서울 동부구치소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최악의 사태로 치닫고 있다. 28일 233명이 추가 확진되면서 관련 확진자가 769명까지 폭증했다. 수용자 1/3이 확진되는 등 이미 구치소 전체에 감염이 퍼졌을 것이란 추정이 나오면서 추가 확산 규모를 짐작조차 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29일 법무부와 방역당국에 따르면 동부구치소 관련 확진자는 28일 769명까지 늘어났다. 전날 검사를 받은 1689명 중 수용자 233명이 양성 판정을 받고 직원, 가족 등에서도 확진자가 추가되면서다.
국내 코로나19 발생 이후 단일집단 최대감염으로 기록된 동부구치소 사태와 관련, 방역 실패 주원인으로 최초 확진 이후 16일간 초기 대응 문제가 유력하게 꼽힌다.
법무부는 지난달 27일 직원 1명 최초 확진 발견 후 12월 12일까지 접촉자를 중심으로 직원 201명과 수용자 298명에 대한 검사를 실시했다. 검사를 통해 직원 중 11명 확진자가 나왔고 당시까지 수용자 감염사례는 없었다고 밝혔다. 방역 골든타임인 이 시기 가장 큰 패착은 전수검사가 아닌 접촉자 중심 검사를 진행했다는 점이다.
다인실 위주, 밀접 접촉 구조인 시설 특성을 감안해 접촉자만이 아닌 수용자와 직원 전체를 대상으로 전수검사를 실시했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 진단이다.
동부구치소는 13일에서야 425명 전직원 진단검사를 실시했고 이중 3명이 추가 확진됐다. 법무부가 외부에 도움을 요청한 건 14일이 되어서였다. 이날 직원과 밀접접촉한 수용자 중 처음으로 확진자가 나왔기 때문이다. 직원 확진자에만 대응하고 수용자로 감염이 확산될 가능성을 전혀 예상하지 못한 늑장 대응이란 비판이 나오는 대목이다.
법무부가 방역당국에 요청했다는 전수검사 요청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법무부는 14일 서울시와 송파구 등 방역당국에 전수검사 필요성을 제기했으나 시와 자치구에서 검사를 미뤘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서울시에선 법무부의 이같은 책임 전가에 불만을 제기한다. 이미 12월초부터 관련 기관 간 논의가 진행중이었으며 검사 요청을 거부할 상황도 아니었다는 것이다.
구치소 내에서 검사가 제대로 이뤄졌는지도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동부구치소는 시설 내 운동장 공간에서 검사를 실시했다지만 초기 검사는 구치소 내 의무실에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감염자와 미감염자가 뒤섞일 수 있는 상황에서 확산이 증폭됐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서울시 대응도 도마에 올랐다. 여타 집단감염 상황과 달리 초기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은 정황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구치소 내 감염 확산 시점인 12월 초는 겨울대유행 초기로 지역감염이 확산되던 시점이다. 14일부터 시작된 임시선별검사소 설치는 서울시 방역당국을 더욱 분주하게 만들었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통제 가능한 동부구치소 상황 대응이 우선순위가 밀린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문제는 여기가 끝이 아니라는 점이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30일로 예정된 전수검사를 마치면 수백명 확진자가 더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역학조사 결과 구치소 전체로 감염이 확산돼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김윤 서울대 의대 교수는 “동부구치소 대규모 감염은 11월 27일 직원확진자 최초 발생 이후, 전수조사가 진행된 12월 18일 사이 직원들에 의한 수용자 감염, 수용자에 의한 수용자 감염이 광범위하게 진행된 결과로 추정된다”며 “초기 직원들에 대한 역학조사 및 방역관리가 적극 이뤄지지 않은 점이 대규모 감염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