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교육·소득 따라 자녀흡연율도 차이
건강 불평등도 대물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 세대의 흡연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소득이나 교육 수준과 같은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자녀가 우울감과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도 차이가 뚜렷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공개한 '국민의 건강 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 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아동기 건강 불평등' 자료에 따르면 2018년 현재 12~18세 청소년 흡연율은 6.7%다. 남학생 9.4%, 여학생 3.7%였다.
청소년 흡연율은 부모 세대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격차를 보였다. 소득 수준이 하(16.3%)인 집단에서 가장 높았고, 중하(9.2%), 상(8.0%), 중(6.0%), 중상(5.5%) 순이었다. 가구 소득이 낮을수록 흡연율이 높았다.
부모의 교육 수준에 따라서도 격차가 나타났다. 아버지 교육 수준이 중졸 이하인 경우 청소년 흡연율이 14.8%로 가장 높았다. 이어 고졸 이하(8.9%), 대졸 이상(5.3%) 순이었다.
정이한 서울금연지원센터 위기청소년파트장은 "실제 흡연 청소년 중 상당수에서 부모 중 한 사람, 혹은 부모 모두 흡연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면서 "또래문화 안에서 친구들과의 연결고리 수단으로 흡연을 시작하기도 하지만 부모가 담배를 필 경우 담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약해지면서 실제 흡연으로 이어지기 쉽다"고 말했다.
정 파트장은 "최근 전자담배 보급 확대와 청소년들이 주로 접하는 매체인 유튜브나 웹툰 등에서 흡연 장면이 자주 노출되는 것도 청소년 흡연 증가 요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12~18세 청소년이 느끼는 우울감이나 스트레스도 가구의 경제 상태와 부모 교육수준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의 슬픔이나 절망감, 즉 우울감을 느끼는 청소년 비율은 가구 소득수준이 낮을 때(중하, 하) 유의미하게 높았다. 스트레스 인지율이나 비만율도 가구 경제 상태와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대책을 내놨다. 금연종합대책은 담배 광고 판촉행위 제한 강화를 비롯해 전자담배 등 니코틴 함유 제품과 기구 규제 강화, 실내 금연구역 확대와 흡연실 폐쇄를 통한 간접흡연 차단 등이 골자다.
이번 연구의 책임을 맡은 김동진 한국사회보건연구원 건강정책연구실장은 "보고서를 통해 부의 불평등뿐 아니라 건강 불평등도 자녀에게 대물림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사후적 보건 교육이나 청소년의 행태 개선 조치에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근원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구조적 접근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정아 리포터 jahong@naeil.com
[관련기사]
▶[모든 정책에 건강우선] 성·소득·지역 격차 없는 '건강증진' 추진
▶건강영향평가제도 외국사례를 보니
▶강원도민이 비만율 높은 까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