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고급인력양성 모델 개발

2022-02-22 11:55:31 게재

한독경상학회 아우스빌둥위원회

4차산업혁명, 기술과 혁신의 시장재편을 예고하면서 중견기업은 연구개발을 서둔다. 인공지능(AI)·빅데이터 분야 석·박사 인력이 절실하다.

그런데 인력 유치가 쉽지 않다. 일할 만하면 떠나는 이직이 문제다. 기업이 대체로 지방 소재인 점,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과 근로조건이 우수인력 이직을 부추긴다. 기업에선 필요한 고급인력을 찾기 힘들다. 취업 희망자가 있어도 업무적합성과 능력을 판단할 근거가 부족하다.

이에 한독경상학회 아우스빌둥위원회는 중견기업 맞춤형 고급인력양성 모델을 개발한다. 그간 한국의 독일식 직업훈련모델은 아우스빌둥과 일학습병행제였다. 두 모델 모두 고급인력양성에 답을 주지 못했다.

독일 정부는 4차산업혁명 디지털화에 중소·중견기업의 혁신이 수익이 되도록 기술과 인력양성을 지원한다. 시장경제 개입, 방해가 아닐까? 중소·중견기업 지원은 시장경쟁을 할 수 있게 독려하는 것이다. 사회적 시장경제 공정경쟁을 보존하는 질서정책이다.

낮은 근로조건, 지방근무가 우수인력 유치에 장애가 된다면 정부가 질서정책으로 인력난 해소에 나서는 것이 시장경제 효율성을 믿는 독일식 해법이다.

독일 아우스빌둥은 기업과 학교로 학습장소 이원화, 직업별 인력양성, 시장 친화성, 노·사·정 합의 원칙, 통일된 자격시험, 수익 지향적 재정지출 6가지 원칙을 따른다.

학교와 달리 기업은 일과 고객을 체험학습하는 곳이다. 기업훈련은 기업특화인력을 양성한다. 또 동료와 협력해 생산 서비스를 수행하면 훈련생의 관심 자질 능력을 일을 통해 확인한다. 한국 중견기업이 어려워하는 일자리와 인력의 미스매칭 문제를 완화할 방안이 된다.

이 두가지에 기초해 아우스빌둥위원회는 중소·중견기업 고급인력양성 모델로 석박사과정의 연구원이 기업현장과 연구기관, 이원화된 공간에서 기업의 시장성 있는 과제를 수행한다. 노·사, 기초·광역·중앙 정부가 고급인력양성의 방법과 내용을 합의하고 근로조건을 보장한다. 독일은 고급인력양성에도 이미 시장친화적 듀얼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정미경 한독경상학회 아우스빌둥위원장

["아우스빌둥 한국 5년 성과" 연재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