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마을포럼

'인공지능 시대, 인간답게 산다는 건 무엇일까'

2023-04-20 00:00:01 게재

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모여 다양한 생각, 의견 나누며 지역의 '공론장' 역할 … '도서관을 지켜라' 마음 모아

"어떤 면에서 과학은 천국의 문을 여는 열쇠이면서 동시에 지옥의 문을 열 수 있는 열쇠이기도 하다. 어떤 문이 지옥의 문인지 혹은 천국의 문인지에 대한 설명서는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이 열쇠를 버리고 천국의 문에 들어갈 방법을 없애버려야 할까, 아니면 그 열쇠를 사용하는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 열심히 토론하고 씨름해야 할까. 이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사람마다 소신이 다르겠지만 내 생각에는 천국의 문을 열 수 있는 열쇠라는 가치 자체를 부정할 수는 없다고 본다."

15일 느티나무도서관에서는 '인간답게 산다는 건 뭘까? 인공지능 시대의 삶과 일'을 주제로 마을포럼이 열렸다. 사진 이의종


◆'인공지능은 왜 모른다고 못할까' = 15일 느티나무도서관에서는 '인간답게 산다는 건 뭘까? 인공지능 시대의 삶과 일'을 주제로 마을포럼이 열렸다. 이날 시작을 알린 것은 이여은(중학교 3학년) 학생의 '파인만의 과학이란 무엇인가' 책 일부분의 낭독이었다. 여은 학생은 한 청소년 기후행동 동아리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어머니가 느티나무도서관 낭독 모임에 참여하는 이용자이기도 하다.

청소년의 목소리로 낭독한 묵직한 내용은 주제 '인공지능 시대의 삶과 일'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켰다. 이날 함께한 '레퍼런스 패널'(참고정보를 제공하는 길잡이)들은 김겨울 작가와 김상욱 경희대 교수(물리학자)였다.

마을포럼은 2부로 나눠 진행됐다. 1부는 사전에 이용자들에게 받은 질문을 말할 거리로 삼아 김 작가와 김 교수가 대화를 나누는 시간이었다. 2부는 현장에서 함께하고 있는 이용자들이 질문을 하고 답변을 듣는 시간으로 구성됐다.

'AI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컬렉션. 사진 이의종


이날 관심사 중 하나는 단연 인공지능 챗GPT였다. 김 교수는 사전 질문 중 하나인 '왜 챗GPT 같은 인공지능은 모른다고 못 할까'에 대해 "챗GPT는 어떤 단어들이 쭉 나열돼 있을 때 다음 단어로 무엇이 가장 좋은 것인지 확률적으로 예측한다"면서 "챗GPT는 '모르면 답하지 마'라고 지시를 해도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답을 안 할 수가 없으며 보다 정확한 답변을 얻기 위해서는 '미국의 주요 신문들을 바탕으로 답을 해'처럼 단서들을 달아야 한다"고 말했다.

현장에서 한 이용자는 "5살, 7살 아이를 키우고 있다"면서 "챗GPT 시대에 데이터를 연결하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하니 아이들에 대한 교육도 그런 분야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 같은데 지나치게 선행학습을 시키는 사회에서 어떻게 아이들을 교육시켜야 할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우리 사회는 교육에 대해 입시제도를 수없이 많이 바꾸면서 다양한 시도들을 해왔지만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면서 "지금 교육의 가치를 얘기해도 다들 자녀들을 학원에 보내 학습을 강요할 것이기 때문에 소용이 있을까"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직접 아이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소통을 하고 공감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것, 그리고 실패를 경험하게 해주는 것이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김 작가는 "인간이 다른 사람을 만나서 얘기를 하고 책을 통해 다른 삶을 경험해보면 내가 갖고 있는 경험이 확장된다"면서 "이게 반복되면 아주 작았던 개별적인 한 인간의 정신이 보편적인 방향으로 고양돼 가는데 이를 교양이라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독일어로 교양은 '빌둥'으로 '형성'이라는 의미"라면서 "연결하는 능력은 다른 사람을 만나고 책을 많이 읽으면서 길러나갈 수 있지 않을까"라고 덧붙였다.

'도서관을 지켜라'라고 마음을 모으는 모습. 사진 이의종


◆양방향 소통하고 관련 책과 자료 읽기 = 느티나무도서관은 이날 1층 자료실의 이동식 서가를 이동하고 50여개의 의자를 배치했다. 사전 신청한 이용자 50여명에게는 일일이 이름을 적은 명찰을 나눠줬다. 함께 이야기할 사람들이기 때문에 서로의 이름을 알아야 한다는 취지였다.

레퍼런스 패널들과 이용자들의 거리는 일반적인 토론회와 달리 상대적으로 가까웠고 수평적이어서 충분히 양방향 소통이 가능했다. 원활한 진행을 위해 마이크를 사용했지만 서로의 육성을 충분히 들을 수 있는 거리였다.

이용자들은 도서관에서 준비한 자리를 가득 채웠다. 어머니 아버지와 함께 온 것으로 보이는 어린이들부터 청년 세대, 40~50대, 60~70대 이상이 되는 어르신들까지 남녀노소가 한자리에 모였다. 사전 신청을 하지 못했거나 책을 읽던 이용자들은 복층 구조의 도서관 계단에 앉아 귀를 기울였다.

이날 사서들이 이용자들과 함께 나누기 위해 만든 'AI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라는 제목의 컬렉션도 전시됐다. 책 '나는 사이보그가 되기로 했다' '시민을 위한 테크놀로지 가이드' 등 이용자들에게 추천하는 책과 자료들로 구성됐다. 김 교수도 쉬는 시간에 책을 골라 읽어보는 모습이었다.

김 교수는 마을포럼에 대해 "인공지능은 중요한 사회적 주제이며 사람들이 이에 대해 각자 자신의 의견을 갖고 생각을 나누고 이와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갈지에 대한 공통적인 인식을 갖는 건 굉장히 중요하다"면서 "이렇게 지역 공동체 공간에 모여서 사람들이 사회의 현안을 같이 생각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가 많지 않은데 오늘 함께하게 돼 너무 좋았고 많이 배웠다"고 말했다.

'도서관을 지켜라'라는 문구가 새겨진 티셔츠. 사진 이의종


◆도서관 밖 여러 삶의 현장 찾아가 = 느티나무도서관은 다양한 주제로 2015년부터 마을포럼을 열어왔다. 2015년 겨울부터 '국정교과서' '인공지능' '꿈' '다이어트' 같은 주제들을 다루며 시작했다. 이후 '일' '아픔' '민주주의' '정신건강' 등 이용자들이 원하는 주제들을 선정했다. 느티나무도서관은 마을포럼이 다양한 주제들을 이웃과 나누고 맥락을 짚어보는 공론장의 역할을 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컬렉션 버스킹'을 통해 도서관 밖에서 시민들을 만나고 시민들이 남긴 질문을 토대로 마을포럼의 주제를 정한다. 컬렉션 버스킹이란 사서들이 다양한 주제의 컬렉션을 가지고 도서관 밖에 있는 여러 삶의 현장에서 시민들을 만나는 활동을 말한다. 지금까지 미술관 대학교 등 여러 곳에서 진행됐다. 주제들은 '나는 왜 이일을 계속하는가' '쓰레기 생활자의 마을 설명서' 등 다양하다.

컬렉션 버스킹을 방문한 시민들은 책을 읽고 종이카드에 자신들의 고민과 궁금증들을 남긴다. 그 고민과 궁금증들이 쌓여 마을포럼의 주제로 탄생하게 된다. 이번 마을포럼 주제도 이렇게 정해졌다.

또 마을포럼에서 선보인 컬렉션들은 컬렉션 버스킹을 하러 떠난다. 이날 선보인 컬렉션은 용인시 처인구에 위치한 문화예술인 협동조합 '뚝 플레이스'를 찾아갈 예정이다. 느티나무도서관은 이렇게 선보인 컬렉션들을 '사회를 담는 컬렉션'이라는 이름으로 도서관 안에서 이용자들이 읽을 수 있도록 선보이고 있다.

한편 이날 사서들은 '도서관을 지켜라'라는 문구가 새겨진 티셔츠를 입고 있었다. 마을포럼이 끝날 때, 핸드폰 불빛을 함께 비추며 '도서관을 지켜라'라고 마음을 모으기도 했다. 정부(경기도와 용인시)에서 받는 예산이 삭감된 까닭이었다.

박영숙 느티나무도서관 관장은 "느티나무도서관은 사립 공공도서관으로 24년째 이어오고 있다"면서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말처럼 쉽지 않은 일인데 마을포럼과 같은 자리가 더 많아질 수 있도록 예산이 지켜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의회에서 예산이 삭감됐는데 경기도와 용인시 매칭예산이기 때문에 경기도에서 예산이 편성되지 않으면 용인시도 편성하기 어렵다"며 "올해 경기도의 세입 상황이 좋지 않아 추경을 하지 않을 것 같아 개별사업을 통해 별도로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현경 기자 funnysong@naeil.com
송현경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