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강도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장
"지주회사 만들어 연구성과 사업화"
28일로 취임 87일째를 맞은 강도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장은 임기(4년) 내 해양과학기술들을 전문적으로 사업화할 수 있는 지주회사 설립 추진에 의욕을 보였다. 원내 우수한 인프라를 활용하고 지주회사를 관리주체로 성장시켜 해양과기원의 연구성과를 경제·사회적 기여로 선순환시킬 자회사로 성장시키겠다는 구상이다. 내일신문은 24일 인터뷰에 이어 26일 보충인터뷰(전화)를 진행했다.
■지주회사를 만들려는 이유는
많은 세금이 해양과학기술 연구개발에 투자된다. 특허낸 기술들을 한국의 기업들이 사업에 활용할 수 있게 하면 해양혁신도시인 부산에 인력이 머물고 모일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해양과학기술은 세계 5~6위 수준이다. 3위권 안으로 들어가면 국제사회에서 논의를 이끌 힘이 생긴다. 지주회사는 글로벌시장에서 과학기술 경쟁력을 더 높이는 힘도 될 것이다. 추진단을 설치부터 설립까지 16개월 정도 걸리는 것으로 검토됐다. 지금도 해양과기원이 공동출자한 연구소기업 9곳이 사업을 하고 있다.
■부산에 해양혁신도시를 만들었지만 아직 집적효과가 약하다는 지적이 많다.
그렇다.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해양수산관련 14개 기관이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는데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대덕연구특구처럼 14개 기관이 더 강한 결속력을 갖고 움직일 수 있게 '연구개발특구법'같은 법적 테두리가 있으면 좋겠다. 해양과학특구가 생기면 기업도 만들 수 있고, 인재들에 대한 장학증진도 할 수 있고 교육도 할 수 있다. 해양대 부경대 부산대 등 지역대학과 출연연구기관, 해양관련 기업들을 연결한 해양실리콘밸리를 만들고 싶다. 지주회사를 만들겠다는 것도 그런 뜻이다.
■해양과기원과 원자력연구원이 후쿠시마원전오염수 확산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한 이후에도 불안은 여전한데
시뮬레이션 결과만으로 일본이 방류하는 것을 방관해서는 안된다. 방류에 대한 감시와 과학적인 조사를 강화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성에 대한 검증을 철저히 해야 한다. 우리는 일본이 방류하기 전 원전오염수 유입 경로인 북태평양에서 바닷물 속 방사성 핵종에 대한 조사계획을 갖고 있다. 방류하면 그 영향도 조사하게 된다.
■해양기후에 대한 관심도 크다. 기후변화대응에서 해양과학의 역할은
해양은 기후변화가 얼마나 빨리, 어느 정도 크기로 진행될지 조절하는 능력이 지구상에서 가장 크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70%를 차지하고, 태평양은 지구 표면의 3분의 1이다. 모든 육지를 합한 것보다 넓다. 첫째, 기후를 결정하는 요소인 물과 열 온실가스를 해양이 대기보다 많이 저장한다. 둘째, 해양운동을 통해 열과 온실가스를 전체 해양으로 재분배한다. 셋째, 해수면에서 해양과 대기 사이에 열과 온실가스 교환이 끊임없이 일어난다. 이런 해양특성에서 지구시스템 물순환과 탄소순환 강도와 속도가 영향을 받고 기후변화 완급이 조절된다. 해양과학으로 이를 분석 예측 활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