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업·가계 대출 증가세 둔화
2분기 GDP 대비 부채는 최대
'대차대조표 불황'은 아니지만 경기 침체 우려는 계속 높아져
26일 블룸버그가 중국 인민은행과 국가통계국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산한 바에 따르면 2분기 가계, 기업, 정부 부문을 합친 총부채는 GDP의 281.5%로 증가했다. 이는 1분기 279.7%보다 늘어난 수치다.
이 데이터는 현재 중국이 기업과 가계의 레버리지 감소로 대표되는 전형적인 '대차대조표 불황'을 보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코노미스트들은 대출 증가율 둔화가 GDP 성장률에 압력을 가할 것이며, 이는 '대차대조표 불황'과 다소 유사한 과정이라고 보고 있다.
중국 정부 산하 싱크탱크인 중국 국가금융개발연구원은 지난 25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2분기 총부채, 거시 레버리지 비율이 283.9%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가계 부채 증가율은 지난 20년 평균 증가율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기업들은 향후 경제 전망에 대해 확신이 없기 때문에 '관망 모드'에 들어갔다고 진단했다.
이 수치는 노무라연구소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리차드 구의 주장처럼 중국이 '대차대조표 불황'에 진입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쟁을 가중시키고 있다. 리차드 구는 지난달 중국이 1990년대 일본의 경기 침체를 야기했던 것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자산 가격이 급락하면 민간 부문이 부채를 상환해 레버리지를 줄이는 데 집중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비와 투자가 위축된다는 게 그의 이론이다.
중국 국가금융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의 전반적인 부채는 줄어들지 않고 있지만 경기 둔화로 인해 가계는 예전보다 대차대조표를 개선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기업은 확장을 위한 차입을 주저하고 있다.
국가금융개발연구원은 이러한 추세를 '비정형적' 형태의 대차대조표 불황으로 볼 수 있다면서 이것이 GDP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중국 정부가 차입을 늘리고 금리를 인하하면 이러한 결과를 피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지난 10년 동안 이코노미스트들은 중국의 부채 증가를 경제에 대한 걸림돌로 지적해왔다. 중국 정부는 이러한 지적을 받아들여 2017년부터 금융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부채 증가 속도를 늦추는 '디레버리징 캠페인'을 시작했다. 2020년 중국은 방대한 부동산 부문의 레버리지를 줄이기 위한 노력에 착수했다.
앱솔루트 스트래티지 리서치의 신흥시장 이코노미스트인 아담 울프는 "중국이 대차대조표 불황에 빠져 있지는 않지만 가계와 기업이 대차대조표 회복을 추구하면서 불황의 위험에 처해 있다는 국가금융개발연구원 보고서의 결론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그는 "가계와 기업이 이렇게 행동하는 이유는 금융 부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정책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게이브칼 드래고노믹스의 중국 연구 책임자인 앤드류 뱃슨은 중국 기업 부문은 전반적으로 디레버리징이 일어나지 않고 있지만, 부동산 부문은 정부 정책의 결과로 부분적으로 디레버리징이 일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GDP에서 부동산과 건설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하면 이 부문의 디레버리징만으로도 중국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뱃슨은 "따라서 중국은 아마도 경기 침체에 빠졌을 수 있으며, 경기 침체의 가장 큰 원인은 부동산 부문의 대차대조표 축소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부 사람들이 이를 '대차대조표 불황'이라고 부르는 것이 옳은지에 대해 논쟁할 가치가 없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