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업기술진흥원 | 기술농업으로 미래 먹거리시장 연다
드론부터 자율주행까지 정밀농업 사령탑
농업기술진흥원 ICT신뢰성평가팀 주축돼
기자재 표준화·안전성 두마리 토끼 잡는다
스마트팜으로 실현되는 정밀농업의 내면을 보면 첨단기술 경쟁의 각축장이기도 하다. 세계 정밀농업 시장 규모는 2022년 9억8000만달러에서 2023년부터 10년간 연평균 성장률 13.3%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정밀농업이 한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팜 기자재의 표준화와 안전성 검정이 자리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ICT신뢰성평가팀을 출범시켜 농기계 분야 기술과 안전성 검정에 나섰다.
13일 전북 익산 ICT신뢰성검정팀을 찾아 국내 스마트팜 기자재의 기술현황과 표준화 사업 추진상황을 확인했다.
현장에서 만난 김영태 ICT신뢰성평가팀장은 "농기계 검정사업은 사용자인 농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해야 하는 작업이자 안전성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기준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곳에서는 스마트팜 기자재는 물론 일반 농기계의 기술과 안전을 검정하고, 자율주행장비 성능시험, 드론 장비도 시험한다.
장비를 검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농업장비이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농민들의 안전이 보장돼야 한다. 농업은 세계노동기구(ILO)가 지정한 3대 위험 직군으로 분류되는 만큼 농기계 사용이 많은 농업 분야 안전성 확보가 세계 주요 국가의 농정 핵심 과제로 분류된다.
ICT신뢰성평가팀은 축산시설의 안전한 스마트화를 위해 '485통신'(컴퓨터와 주변장치를 연결하는 직렬통신 중 하나)을 통한 스마트축산화를 검정한다.
이곳에는 드론 신뢰성평가를 위한 시험장과 자율주행장비 운행 시험장이 있다. 특히 드론이 농업현장에 투입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드론의 성능검정과 안전성 시험은 상당히 중요한 과정으로 자리잡았다. 드론은 병해충 방제와 시비, 생육 모니터링, 파종, 수분에 활용된다. 농업 선진국은 GPS를 기반으로 드론 파종이 상용화하고 있다. 정밀방제와 작황분석, 작황 점검 등을 드론이 도맡아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주산지 중심으로 공동방제를 도입했지만 아직 드론 정밀농업이 활성화된 단계는 아니다. 이는 드론의 성능검증 등이 아직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ICT신뢰성평가팀은 국내 드론업체 43곳에서 생산되는 정밀농업용 드론을 평가·검정하고 있다. 대상 드론은 150여종이다. 대부분 농약살포용과 파종용 드론이다. 김영태 팀장은 "드론이 정밀하게 농약을 살포하지 않으면 피해가 커지기 때문에 이같은 기술을 검정하고 있다"며 "안전사용 매뉴얼 등을 연구해서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내 정밀농업용 드론은 배터리 성능 향상과 무인항공 살포 농약의 등록규정 준수, 마을 단위 방제체계 구축, 밭작물 방제 기술 연구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국내의 스마트농업을 완성하기 위한 과제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스마트농업법은 올해 7월 공포, 내년 7월부터 시행된다. 시행을 앞두고 농업의 정밀화를 위한 신뢰성평가팀의 역할도 기대되고 있다.
정밀농업 확대를 위해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한국정밀농업학회와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를 16일부터 개최했다. '대한민국 정밀농업의 비전과 방향'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국내외 정밀 스마트 농업 기술의 전반적인 동향과 발전 방향을 이해하고 어떻게 개발·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됐다.
안호근 한국농업기술진흥원장은 학술대회에서 "이상기후와 고령화, 농업인구 부족 등이 농업 생산성과 안전성 위협하고 있다"며 "지속 가능한 농업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밀농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의 혁신이 필요하고 농업이 기술과 함께 진화할 때 농업 분야에서 더 나은 미래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