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공적금융 화석연료 투자 2위
미국 기후환경단체 OCI 분석
3일 미국 기후환경단체인 오일 체인 인터내셔널(OCI)이 공개한 상위 5개국 화석연료 금융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한국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공적금융에서 한 해 평균 100억달러를 화석연료 지원에 투입했다.
1위는 캐다나로 한 해 평균 약 110억달러를 지원했다. 캐나다의 경우 2022년 말 ‘청정에너지 전환 파트너십(Clean Energy Transition Partnership, CETP)’ 이행 계획을 내놓으며 사실상 해외 화석연료 공적금융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상태다.
OCI가 지난해 발표한 동일한 내용의 분석 보고서에서는 일본이 공적금융에서 화석연료에 투자를 제일 많이 한 국가였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한 해 평균 70억달러를 투자한 걸로 집계되면서 3위로 내려왔다.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더 많은 공적금융 자본을 화석연료에 투입한 셈이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청정에너지 금융은 연평균 8억5000만달러 규모다. 이는 화석연료 금융의 1/13 수준에 불과한 수치다.
반면 일본의 청정에너지 금융 규모는 연평균 23억달러로 우리나라보다 3배 많다.
보고서 저자인 OCI 연구원 클레어 오매닉크는 “전세계적으로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이루기 위해서는 국제 공적금융 역할이 중요하다”며 “그러나 한국과 같은 주요 20개국(G20)들이 기후를 파괴하는 화석연료 사업에 매년 100억달러씩 투자한다면 이러한 국제적 공적금융 노력이 무색해진다”고 말했다.
오동재 기후솔루션 석유가스팀장은 “선진국 중 석유와 가스에 대한 공적금융 중단을 고심하지 않는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며 “한국이 신규 화석연료 투자를 계속 고집한다면 국제 사회에서 고립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이뿐만 아니라 한국이 화석연료 투자에 관성적으로 공적금융을 투여하는 동안 한국 산업의 청정에너지 산업 경쟁력은 다른 경쟁 국가들에 빼앗기게 될 것”이라며 “한국은 더 늦기 전에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의 정책금융 패러다임 전환을 국제사회에 확실하게 알리고 국내 산업계에 신호를 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아영 기자 ay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