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항공유 확대로 신산업 창출”
산업·국토부 ‘SAF 확산전략’ 공동발표 … 9개 국적 항공사·5개 정유사 등 협력
정부가 지속가능항공유(SAF) 사용 확대를 통한 탈탄소·기후위기 대응에 나섰다. 국제항공 탄소규제 강화에 대비하는 한편 바이오항공유와 같은 친환경 고부가가치 산업을 키워 SAF 시장을 선점한다는 구상이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산자원부는 30일 국제항공 탄소감축과 신산업 창출을 위한 ‘지속가능항공유(SAF) 확산 전략’을 공동 발표했다.
SAF는 화석연료 대신 폐식용유·동식물성 기름·옥수수·사탕수수 등 바이오 연료로 생산한 친환경 항공유다.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항공유보다 탄소 배출을 80%가량 줄일 수 있어 탄소중립 시대의 대체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유럽 2050년까지 70% 사용 = 특히 국제항공에서 탈탄소 효과가 가장 큰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어 세계 19개 국가에서 기후위기 대응 차원에서 SAF 급유 상용운항을 시행 중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SAF 혼합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유럽은 2025년부터 시행하는 ‘리퓨얼EU’ 법안에 따라 EU발 모든 항공기에 SAF 2% 이상 사용을 의무화했다. 2030년 6%, 2035년 20%, 2050년 70%로 의무사용 비율을 점차 높인다는 계획이다. 일본은 2030년까지 연료의 최소 10%에 SAF를 사용하고 2050년까지 100%로 늘린다.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 1위 항공유 수출국가이지만 글로벌 SAF 수요 확대(2022년 24만톤 → 2030년 1835만톤)에 대응해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부각되는 SAF 시장 선점을 위한 과감한 정책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30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인증한 국산 SAF를 급유 받은 항공기가 첫 국제선 정기운항을 시작했다.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아시아나항공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진에어가 올해부터 주1회·1%혼합한 SAF 상용운항에 들어간다. 운항노선과 기간, SAF 혼합비율은 국적항공사가 자율적으로 정한다. 국내 정유사와 SAF 구매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이다.
◆민관 협력, SAF 혼합 의무화 도입=국토부와 산업부는 이날 국적항공사・국내 정유사, 인천국제공항공사・한국공항공사 등과 ‘SAF 상용운항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국내 SAF 사용확대에 협력하기로 했다.
참여하는 국적항공사는 대한항공 아시아나 제주항공 진에어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 9개사다. 국내 정유사는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에너지스 5개사가 동참했다.
국토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SAF 사용 항공사에 대해 △국제항공 운수권 배점 확대 △인천공항 SAF 항공편 지원 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제항공 탄소규제가 강화되는 2027년부터 국내출발 국제선의 모든 항공편에 SAF(1% 혼합) 사용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추진할 계획이다. ‘국제항공 탄소상쇄·감축제도’는 국제항공 탄소배출량의 85% 수준 초과시 항공사는 탄소배출권을 구매해 상쇄하는 제도로 2027년부터 우리나라를 포함한 ICAO 193개 회원국에게 의무 적용된다.
◆관련부처 SAF 생산확대 지원 = 정부는 국내 기업의 R&D·시설투자가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투자세액공제 확대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향후 높은 SAF 생산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지원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바이오 기반 폐기물을 SAF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폐기물의 재활용 종류·범위를 확대하고 생산공장 투자가 확정되면 이를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또 국내외 대·중견·중소기업, 석유공사 등이 K-컨소시엄을 구성해 단계별로 해외 원료확보, 저장·유통 인프라 구축 등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기업 수요를 기반으로 바이오원료 수거·처리·정제시설, SAF 생산공장, 연구기관 등 SAF 핵심 인프라의 집적화도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이번 발표와 국산 SAF 급유 첫 상용운항을 시작으로 국제항공 탈탄소 정책을 적극 추진해 항공분야 탄소중립 선도국가의 위상을 확립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항공유 수출 1위의 경쟁력을 유지·강화하기 위해서는 국내 항공유와 SAF의 원스톱 공급역량 확보가 핵심”이라며 “정유·항공업계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방안을 지속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김선철 기자 sckim@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