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마을 ‘주거보장, 거주확인 발급’ 농성

2024-11-25 13:00:34 게재

‘마지막 판자촌’ 보상 문제 갈등

경찰, 망루 설치 혐의 6명 연행

서울의 ‘마지막 판자촌’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주민들이 재개발에 따른 분양권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 관련해 불법 망루를 설치한 혐의로 6명이 경찰에 연행되기도 했다.

25일 경찰 등에 따르면 구룡마을 주민 200여명은 지난 23일 오후 6시부터 약 6시간 동안 토지매입권과 거주사실확인서 발급을 서울시에 요구하며 집회를 가졌다. 이들 중 일부는 10m 높이의 망루에 텐트를 설치하기도 했다.

이들은 “구룡마을은 주민들의 땀과 피와 눈물로 지켜온 내 집”이라며 “서울시는 거주 주민에게 토지를 우선 매각하라”고 요구했다.

집회 과정에서 서울 수서경찰서 형사과는 허가없이 철제 망루를 설치한 6명을 도시개발법 위반 혐의로 연행해 25일 오전까지도 조사하고 있다. 경찰은 “망루 설치자들과 구룡마을 주민과의 관계 등을 조사하고 있다”며 “자세한 내용은 수사 중인 사안으로 말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구룡마을 주민들이 시위에 나선 것은 일대에 대규모 아파트가 들어서는 재개발에 따라 내년 착공을 목표로 보상 절차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서울시와 서울주택공사(SH)는 올해까지 철거와 이주를 마칠 예정이지만 분양권을 요구하는 주민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주민들은 오랜 기간 거주해 온 만큼 재산권을 인정받고 재개발 이후에도 주거지를 제공받길 원하고 있다.

현행 토지보상법상 무허가 건축물 거주자는 분양권을 받지 못한다. 다만 무허가 건축물이라도 1989년 1월 이전 소유했거나 실거주자라면 거주확인서를 통해 분양권을 받을 수 있다.

현재 구룡마을에는 230여명의 거주민과 1600여개의 비닐하우스와 간이공작물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구룡마을은 1980년대 중반부터 형성된 판자촌으로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철거된 주민들이 추가로 정착하면서 본격 형성됐다. 2012년에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된 후 해제된 바 있다. 올해 5월 개발계획 변경이 서울시 심의를 통과됐다.

이곳에는 2029년 완공을 목표로 지상 25층 규모의 3520가구(분양 1813 가구, 임대 1707가구) 아파트가 지어질 예정이다.

박광철 기자 pkcheol@naeil.com

박광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