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서해안 생태복원 안간힘

2024-12-26 13:00:13 게재

담수호·금강하구 대상

이해관계 얽혀 제자리

충남도가 서해안 생태복원 사업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하지만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26일 충남도 등에 따르면 충남도는 부남호 등 연안 담수호 생태복원과 금강하구 생태복원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간척이나 둑 등으로 막힌 물길을 다시 연결해 수질과 갯벌,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이는 지역) 등을 되살리자는 주장이다.

부남호는 충남 서산·태안 간척지에 위치한 1021㏊ 규모의 인공호수다. 간척지에 농업용수와 공업용수 등을 공급할 목적으로 조성됐지만 현재 수질이 6등급으로 매우 나쁜 상태다. 고염분의 해수가 40여년 호수 안에 갇혀 있었기 때문이다.

충남도는 지난 10여년간 부남호 생태복원을 추진해왔다. 경기도 시화호가 모델이다. 하지만 농림부 해수부 국토부 등 다양한 정부부처의 이해가 얽혀있어 지지부진하다.

충남도는 현재 부남호와 함께 1/5 크기인 당진시 석문국가산업단지 유수지 생태복원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석문 유수지 역시 5등급으로 농·공업용수로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충남도는 해양수산부가 진행하고 있는 연안 담수호 생태복원 사업 타당성 조사가 내년 상반기 마무리되면 이들을 시범사업 대상지로 제안할 예정이다. 도 해양정책과 관계자는 “부남호가 어려울 경우 규모가 훨씬 작은 석문 유수지의 생태를 먼저 복원하는 안을 고려하고 있다”며 “석문 유수지의 경우 정부가 아니라 당진시가 관리자이고 규모가 큰 부남호 생태복원에 나서기 전에 해당 사업을 검증해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금강하구 생태복원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최근 송년기자회견에서 금강하구 생태복원사업을 대응강화가 필요한 대표적인 사업 가운데 하나로 꼽기도 했다.

금강하구는 충남 서천군과 전북 군산시를 잇는 하굿둑으로 사실상 댐처럼 운영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올해 여름에도 금강하구에 심각한 녹조현상이 발생했다. 충남도는 바다와 강을 연결해 바닷물과 민물이 왕래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전북도는 농업용수 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도 물관리정책과 관계자는 “정부가 금강하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역을 진행했고 마무리했지만 아직 결과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며 “현재 인천시, 전남도 등과 하구복원 특별법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

윤여운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