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선·경원선 지하화 선도사업 지정해야”
박희영 서울 용산구청장
국토부·서울시 협의 촉구
박희영(경부선 지하화 추진협의회 회장) 서울 용산구청장이 경부선과 경원선 지하화를 위해 다시금 목소리를 냈다. 용산구는 박 구청장이 최근 발표된 ‘철도지하화 우선사업 지역’에 아쉬움을 표하며 국토교통부와 서울시에 신속한 협의를 촉구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달 발표된 우선사업 지역에 경부선과 경원선은 제외됐다. 용산구는 지난달 말 두 철도 지하화를 선도사업으로 지정하고 향후 종합계획에도 반영해야 한다는 건의문을 정부와 서울시에 전달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서울시는 연계 노선을 포함한 경부선 34.7㎞와 경원선 32.9㎞를 선도사업 대상지에 포함해 달라고 국토부에 제안했다. 이후 경원선이 지나는 서울 7개 자치구가 지하화 추진협의회를 꾸리고 선도사업 지정을 공동 건의했다. 경원선 서울구간은 용산역부터 도봉산역까지로 용산을 비롯해 성동 동대문 중랑 성북 도봉 노원까지 7개 구를 지난다. 서울역부터 당정역까지 경부선이 지나는 서울·경기 지자체도 7곳이다. 용산 동작 영등포 구로 금천을 비롯해 경기 군포와 안양까지다. 이들 역시 지하화 추진협의회를 통해 국토부에 공동 건의문을 전달하는 등 철도 지하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 2월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부산 대전 그리고 경기 안산까지 3개 지역에서만 우선 추진하기로 했다. 수도권인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은 관련 지자체와 추가 협의를 한 뒤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마련하겠다고만 밝혔다. 용산구가 다시금 정부와 서울시 재촉에 나선 이유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경부선과 경원선 지하화는 단순한 교통기반시설 개선이 아니라 도시 단절을 해소하고 도심을 재구조화하는 동시에 친환경 도시환경을 조성하는 등 서울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사업”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박 구청장은 “철도 지하화를 기다리는 서울시민들을 위해 서울시와 국토교통부가 신속히 협의해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