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이 가장 심각한 민생범죄”
심우정 총장, 마약전담 검사 워크숍 참석
지난해 30대 이하 마약사범 63.6% 차지

마약사범 중 30대 이하 청년들이 10명 중 6명을 넘어서는 등 심각한 상황인 가운데 전국의 마약전담 검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마약범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대검찰청 마약·조직범죄부(부장검사 노만석 검사장)는 4일 서울 서초구 대검 국가디지털포렌식센터(NDFC) 6층 대강의실에서 전국 마약 전담 검사 37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전국 마약 전담 검사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다양한 양상으로 진화하는 마약범죄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수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이날 워크숍에서 △SNS·다크웹·가상자산 이용 마약류 유통 사범 추적 수사기법 △마약류 밀수 범죄 수사 및 국제 공조수사 기법 △의료용 마약류범죄 수사기법 △마약류 중독자에 대한 맞춤형 치료·재활 방안 등을 논의했다.
대검찰청에 따르면, 전체 마약 사범 중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9년 49.1%에서 2020년 51.6%로, 2021년 59.6%, 2022년 59.7%, 2023년 59.9%, 지난해 63.6%로 점점 늘었다. 절대적인 숫자로 봐도 2019년 7886명이었던 30대 이하 마약 사범 숫자는 2020년 9322명, 2021년 9623명, 2022년 1만988명으로 늘었다. 그러다가 지난 2023년 1만6528명으로 급증했고, 지난해 1만4646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국내 마약사범은 2만3022명으로 지난 2023년(2만7611명) 대비 16.6%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전체 마약 사범은 줄었는데도, 30대 이하 사범의 비중은 오히려 더 커졌다.
대검은 “텔레그램·다크웹 등 익명성 높은 소셜미디어(SNS)가 등장하고, 가상자산을 통한 마약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젊은 층의 마약류 범죄가 심각해진 것으로 분석된다”고 했다.
지난해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수도권 대학 13곳 회원 수백 명이 참여한 동아리가 마약 투약·유통으로 적발된 사례가 대표적이다. 검찰은 당시 동아리 회원 14명을 기소했다. 이들은 마약 수사 대비법을 알려주는 텔레그램 채널에서 ‘휴대전화 자료 영구삭제 등 포렌식 대비’ 등 대비법도 공유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또 마약거래 유통 방식이 소위 ‘던지기’ 방식 등 비대면 온라인 거래로 변화하고, 지난해 압수된 마약류 중 해외에서 유입된 경로가 확인된 마약류가 약 687.9㎏에 달하는 등 마약류 범죄 수법이 진화하고 국내 유입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검찰은 지난해 ‘E-drug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한 데 이어 올해 ‘AI 다크웹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고, 마약발송국에 우리 수사관을 파견하는 ‘원점타격형 국제공조시스템’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동시에 외국인 전용 클럽 등 외국인 전용 업소 등에 대해 합동단속을 추진하고, 마약 투약 청소년에 대해서는 ‘사법-치료-재활 연계모델’을 활용해 치료 및 재활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심우정 검찰총장은 워크숍 참석 검사들에게 “검찰이 국민의 신뢰를 받기 위해 가장 충실해야 하는 역할이 민생범죄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것이고, 마약범죄는 민생범죄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문제이므로 국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자긍심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